위증사범에 대한 법원의 처벌이 솜방망이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박연대 노철래 의원은 2006년부터 2008년 8월까지 대구지법의 위증죄 처리 현황을 분석한 결과, 모두 573건 중 213건(37%)은 재산형, 212건(37%)은 집행유예 처분이 내려진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처벌 수위가 높은 자유형은 86건(15%)에 그쳐 재산형·집행유예를 합한 판결의 5분의1에 불과했다.
이처럼 위증죄에 대한 가벼운 판결로 인해 교통사고 가해·피해자가 뒤바뀌거나 단순폭력 사건 입증을 위해 불필요한 휴대전화 위치추적까지 해야하는 등 사회적 낭비가 만만치 않다. 노 의원은 "위증죄는 국가의 사법기능을 위태롭게 만드는 범죄"라며 "위증사범에 대한 양형을 무고죄에 상당할 정도로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병고기자 c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김민석 국무총리 첫 일정 농민단체 면담…오후엔 현충원 참배·국회의장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