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적정 환율 유지 대책 마련할 때 아닌가

금융위기 이후 천정부지로 치솟았던 원/달러 환율이 빠른 속도로 하락하고 있다. 어제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화 환율은 달러당 1,194.4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이 1,100원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10월 1일(1,187.00원) 이후 약 1년 만이다. 올해 최고점(3월 2일 1,570.30원)과 비교하면 6개월 사이에 무려 400원이나 빠지는 급속한 하락세다.

이처럼 급속한 환율 변동은 국민경제의 건전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1년 사이에 지옥과 천당을 오가는 식의 급변동은 기업의 장기적 경영 전략 수립에 혼란을 줄 뿐만 아니라 정부의 경제 운용 계획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특히 환율 변동에 민감한 수출기업의 채산성 악화로 이어질 경우 경기 회복에 브레이크가 걸릴 수 있다.

국내기업들이 생산성 등 비가격 경쟁력을 높였기 때문에 현재의 환율 하락에 큰 충격은 받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하락 속도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그러나 우리 주식시장의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FTSE) 선진지수 편입에 따른 외국인 투자 자금 급증, 경상수지 흑자, 국내 금융기관의 연이은 해외 채권 발행 등 앞으로 환율 하락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는 요인은 널려있다. 이 때문에 당국의 개입이 없다면 1,150원 선까지 단숨에 내려갈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외환시장 환경을 고려할 때 안정적인 환율 유지를 위한 정부의 적절한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급격한 환율 변동은 수출기업의 채산성뿐만 아니라 주식'채권시장에도 중장기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환율이 앞으로 더 하락할 것이란 기대심리가 시장에 자리 잡기 전에 정부는 선제적인 환율 안정 대책을 세워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