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 분노를 부르고 있는 '공룡 세종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장들의 대응이 대조적이다.
이 때문에 "일부 지자체장들이 6·2지방선거 공천을 위해 지역을 외면하고 눈치만 보고 있다"는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정운찬 국무총리가 11일 행정중심의 세종시 원안을 백지화, '교육과학 중심 경제도시'를 천명했지만 일부 지자체는 침묵으로 일관했다.
정치권은 세종시가 기업·교육·과학·의료·문화를 모조리 빨아들이는 블랙홀로 거듭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가장 큰 피해지역으로 대구·구미·김천·상주를 뽑았다.
하지만 이 가운데 구미시만 9명의 단체·기관장 명의 입장 표명을 통해 ▷세종시와 같은 수준의 국가산업단지, 경제자유구역 국비 지원 ▷지방 투자기업에 동일한 세제감면 ▷지방도시가 소외되지 않도록 협의기구 신설 등 대책 마련을 강력하게 촉구했다.
웅진의 세종시 유치가 확정됨에 따라 현재 건립 중인 웅진폴리실리콘 공장 및 추후 투자에 타격 우려가 있는 상주시는 입장 표명이 없었다. 혁신도시 예정지인 김천시도 침묵했다. 이 밖에 경북지역은 대부분 침묵모드다.
대구시는 김범일 시장이 아닌 이진훈 기획관리실장 명의로 "수도권 이 외의 지역에 대한 배려는 혁신도시에 대한 세제지원 외에는 없어 매우 아쉽게 생각한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냈다.
대구시는 ▷첨단의료복합단지와 기능이 중복되지 않고 ▷혁신도시, 경제자유구역, 국가산업단지 등에도 세종시와 동등한 수준의 국가적 지원 대책 마련 등을 요구, "영남권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로 복수 지정이 되도록 대구시가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대 피해지역이 내놓은 입장으로서는 '소극적, 미온적'이라는 게 정치권의 한목소리다.
정치권 한 인사는 "친이명박계 의원들 지역구인 포항, 경북 북부 등 지역은 이번 세종시 발표에 대해 침묵할 공산이 크다"며 "세종시 논란으로 친이-친박계가 극명하게 분열된데 따라 6월 지방선거 공천과 관련해 셈법을 달리하며 '공천 유불리'만 따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유승민 한나라당 의원(대구 동을)은 11일 이 같은 기류에 대해 "대구경북의 국회의원, 시장, 도지사 중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하는 사람이 있다면 무슨 근거로 찬성하는지 선출직으로서 그 이유를 밝혀야 할 것"이라며 "여기에 무슨 친박이 있고 친이가 있느냐"고 발끈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