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초중고생 내년부터 전자교과서(e-교과서)로 공부한다

교육과학기술부가 12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공개한 CD로 된 전자교과서(e-교과서). 교과부는 내년부터 초·중·고교 학생들에게 전자교과서를 배부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교육과학기술부가 12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공개한 CD로 된 전자교과서(e-교과서). 교과부는 내년부터 초·중·고교 학생들에게 전자교과서를 배부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e-교과서로 공부한다.

내년부터 초·중·고교생들은 서책형 교과서 외에 CD로 된 전자교과서(e-교과서)를 사용하게 된다.

시중 서적이나 교사가 만든 교재도 심사만 거치면 고교 교과서로 쓸 수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내년부터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을 시작으로 e-교과서를 학생들에게 보급할 예정이다.

교과서 가격 및 외형이 자율화되면 교과서 내용이 지금보다 한층 풍부해지고 두꺼워지게 돼 가지고 다니기 쉬운 전자교과서를 개발, 학교에서는 서책형 교과서를 쓰고 집에서는 전자교과서를 볼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의무교육에 해당하는 초·중학생에게는 전자교과서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고등학생은 저소득층에게 전자교과서 구입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교과부는 또 내년부터 특수목적고 및 전문계고에서 사용하는 국정교과서 145종과 고교 과학, 음악, 미술, 체육을 비롯한 검정교과서 39종 등 총 184종을 인정교과서로 전환하는 등 고교 교과서 체제를 국·검정에서 인정 체제로 바꾸기로 했다. 인정교과서는 국가가 직접 만드는 국정교과서, 국가가 제시한 기준에 따라 민간이 만드는 검정교과서와 달리 일반 서적 가운데 시도 교육감의 사후 승인을 받아 교과서로 쓰이는 것을 말한다.

2012년까지 고교 전문교과는 모두 인정교과서로 전환하고 초·중·고교 보통교과도 장기적으로 인정교과서를 늘릴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교사들이 자체 제작한 학습자료나 시중에 나와있는 일반서적도 시도 교육감의 승인 절차만 거치면 교과서로 사용할 수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