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회 시사상식 '텐' 정답
1.도조 히데키 2.GAP(우수농산물 관리제도) 3.KKK(Ku Klux Klan)단 4.구스타브 에펠 5.전자어음 6.낙동강론 7.이병철 8.강구연월 9.두남두다 10.콘라드 아데나워
♣지난주 10문제 모두 맞힌 정답자 중 당첨자
◆스파밸리 자유이용권 3명:남규은(대구시 북구 침산3동) 유성사(대구시 중구 대신동) ◆C&우방랜드 이용권 2명:이지현(경북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 서정찬(대구시 중구 남산2동) ◆문화상품권 5천원권 3매(동아백화점 협찬):김태수(대구 달서구 송현1동)
☞응모요령-우편접수:(700-715) 대구시 중구 서성로 26 매일신문사 주말기획취재팀 시사상식 '텐' 담당자 앞. 이메일접수:cdrom@msnet.co.kr
이번 주 시사상식 '텐' 문제입니다.(1월 6~12일)
1.일본의 에도시대(1603~1867년) 풍속화로 에도 그림을 말한다. 이 그림 속에 미인들은 머리 모양과 복색, 표정이 비슷하다. 또 춘화에는 남녀의 성기가 고스란히 드러나고 나머지 신체 부위는 가려져 있다. 에도의 환상, 일본의 원초적 욕망을 그대로 드러냈던 당시 이 그림을 일컫는 용어는?(힌트 6일자 20면)
2.일본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소설이다. 소설의 첫 시작은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장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 신호소에 기차가 멈춰 섰다'. 74세 때 늙고 병든 자신을 실존적 치욕으로 여기고 가스관에 입을 물고 자살한 가와바타의 대표작인 이 작품은?(6일자 21면)
3.'최후의 방어선', '넘지 못할 선'이란 뜻으로 프랑스의 정치가였던 이 사람의 이름을 따서 사용됐다. 하지만 이 방어선은 1936년 난공불락의 요새로 완공됐지만 1940년 독일군이 벨기에를 통해 우회 공격을 해 쓸모없는 요새란 비아냥도 들었다. 오늘날에도 자주 쓰이는 이 용어는?(7일 26면)
4.우리 선조들은 겨울철에 얼음을 빙고(氷庫)라 이름 지은 동굴형 창고에 저장해뒀다가 여름철에 더위를 물리치는데 사용했다. 또 겨울에 잡은 은어를 보관했다가 여름에 임금님께 진상하기도 했는데 돌로 만든 이 얼음창고를 일컫는 말은?(8일 7면)
5.지난해 12월 남극 탐사에 나선 국내 최초의 쇄빙선으로 올 9월에는 북극 탐사에 나선다. 이번에 처녀 출항한 이 쇄빙선에는 총 85명의 인원이 승선했으며, 빙하·해빙조사, 기상조사, 대기환경 조사, 지질조사 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 쇄빙선의 이름은?(8일 18면)
6.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공인구로 이 공이 선정됐다. 세계적인 스포츠용품업체인 아디다스가 2년여의 연구 끝에 내놓은 공으로 꿰맨 자국없이 8개의 가죽 조각을 붙여 만들었다. 이 공의 공식명칭은?(8일 27면)
7.눈속에서 핀다 하여 설연화, 얼음 사이에서 핀다 하여 빙리화라고도 불리며, 우리나라 산에서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야생화다. 꽃말은 동양에서는 '영원한 행복', 서양에서는 '슬픈 추억'이다. 북해도 원주민 아이누족은 '클론'이라 부르는 이 야생화는?(9일 9면)
8.체코어로 '강제노동', '힘든 일'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했다. 1920년 카렐 차펙이 쓴 희곡에서 로섬이 기계인간에게 붙여준 이름이기도 하다. 오늘날 미래산업으로 각광받기도 하는 이 기계인간을 뜻하는 말은?(9일 23면)
9.토마스 에디슨,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등과 견줄만한 최고의 발명가로 전자 오르간을 발명했다. 뮤지션들이 연주하는 악기 이름도 그의 이름은 딴 유명악기가 있다. 2억5천만개의 다양한 음색을 만들어내는 이 오르간을 발명한 인물은?(11일 26면)
10.포항지능로봇연구소에서 이 제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기업체의 제작공정, 품질수준, 신규제품 개발 결과에 대한 문제점 등을 분석해 수정, 보완책을 제시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지도, 조언하는 사외 전문인을 일컫는 용어는?(12일 10면)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