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 갈 채비를 하며
어머니께서
한 소식 던지신다
허리가 아프니까
세상이 다 의자로 보여야
꽃도 열매도, 그게 다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이여
주말엔
아버지 산소 좀 다녀와라
그래도 큰애 네가
아버지한테는 좋은 의자 아녔냐
이따가 침 맞고 와서는
참외밭에 지푸라기라도 깔고
호박에 똬리도 받쳐야겠다
그것들도 식군데 의자를 내줘야지
싸우지 말고 살아라
결혼하고 애 낳고 사는 게 별거냐
그늘 좋고 풍경 좋은데
의자 몇 개 내 놓은 거여
"허리가 아프니까/ 세상이 다 의자로 보여야"라는 '한 소식' 같은 구절 하나로 한 편의 아름다운 시가 완성되는 것을 봅니다. 이 시는 시인이 어머니의 말씀을 그대로 '받아 적은' 것입니다. 이는 모름지기 시인의 '밝은 귀' 덕분이지요. 무릇 시인은 좋은 관찰자(見者)여야 하지만, 이 시의 좋은 예처럼 잘 알아듣는 '좋은 귀'(聽者)를 가져야 하기도 합니다. 췌언 한마디 덧붙이지요. 아프고 나서야 일상의 소중함을 깨달았습니다. 무릎이 거덜 난 후에야, 범상하던 걷기의 의미가 각별하게 다가왔더랬지요. "꽃도 열매도, 그게 다/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이여"라는 시인 어머니의 촌철살인 한마디가 적실하게 다가오는 봄날입니다.
시인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