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 갈 채비를 하며
어머니께서
한 소식 던지신다
허리가 아프니까
세상이 다 의자로 보여야
꽃도 열매도, 그게 다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이여
주말엔
아버지 산소 좀 다녀와라
그래도 큰애 네가
아버지한테는 좋은 의자 아녔냐
이따가 침 맞고 와서는
참외밭에 지푸라기라도 깔고
호박에 똬리도 받쳐야겠다
그것들도 식군데 의자를 내줘야지
싸우지 말고 살아라
결혼하고 애 낳고 사는 게 별거냐
그늘 좋고 풍경 좋은데
의자 몇 개 내 놓은 거여
"허리가 아프니까/ 세상이 다 의자로 보여야"라는 '한 소식' 같은 구절 하나로 한 편의 아름다운 시가 완성되는 것을 봅니다. 이 시는 시인이 어머니의 말씀을 그대로 '받아 적은' 것입니다. 이는 모름지기 시인의 '밝은 귀' 덕분이지요. 무릇 시인은 좋은 관찰자(見者)여야 하지만, 이 시의 좋은 예처럼 잘 알아듣는 '좋은 귀'(聽者)를 가져야 하기도 합니다. 췌언 한마디 덧붙이지요. 아프고 나서야 일상의 소중함을 깨달았습니다. 무릎이 거덜 난 후에야, 범상하던 걷기의 의미가 각별하게 다가왔더랬지요. "꽃도 열매도, 그게 다/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이여"라는 시인 어머니의 촌철살인 한마디가 적실하게 다가오는 봄날입니다.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