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기능 부전 심각한 대구 R&D센터

대구에 있는 각종 연구개발(R&D)센터가 심각한 기능 부전 현상을 보이고 있다. 지역에는 80~90개나 되는 R&D센터가 있지만 지역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곳은 전무한 것이나 마찬가지란 것이다. 지역기업이 필요로 하는 R&D 과제보다는 정부 R&D 자금 획득을 위한 과제나 결과가 쉽게 나오는 과제에만 매달린 결과다. 이래서는 지역 기업의 경쟁력 있는 제품 개발도, 원가 절감을 위한 생산 공정 혁신도 불가능하다.

이 같은 현실은 지역기업의 입을 통해 그대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구경북본부가 200여 개 지역기업과 상담한 결과 도움이 되는 연구기술은 하나도 없다는 것이 공통된 반응이었다. 이는 지역 R&D센터가 기업이 아니라 자신만을 위한 R&D센터로 머물고 있음을 뜻한다. 생긴 지 10년이 넘은 대구경북테크노파크나 설립된 지 6년이 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 무엇을 하는 곳인지 모르겠다는 소리가 지역기업 사이에서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R&D센터는 연구기술의 제품화 여부로 평가받아야 한다. 그러나 대구에서는 R&D센터가 내놓은 기술이 얼마나 제품화됐고 그 제품이 얼마나 성공했느냐 등에 관한 기초적인 통계조차 없다. 결국 R&D센터가 헛돈만 쓰고 있다고 해도 현재로서는 이를 알 길이 없다. R&D센터에 대한 관리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한심한 일이다.

대구상공회의소와 대구경북연구원이 이런 풍토를 혁신하기 위해 나섰지만 늦은 감이 없지 않다. 대구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진작에 했어야 할 일이다. 이제부터라도 철저한 옥석 가리기에 나서 '연구원을 위한 연구' 풍토를 과감히 정리해야 한다. 그리고 연구 실적에 대한 평가를 체계화해 기업과 무관한, 연구원을 위한 생색내기용 연구가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