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지방선거, 국회의원 심복 선출로 전락하나

6'2지방선거 한나라당 공천자가 속속 확정되고 있다. 한나라당 경북도당 공천심사위원회는 어제 9개 기초단체장 공천자를 내정했다. 공천자 확정과 함께 공천을 둘러싼 추문과 갈등, 불협화음이 점점 커지면서 공천(公薦)이 아닌 사천(私薦) 논란이 일고 있다.

문경시에선 현직 시장과 갈등을 빚고 있는 지역 국회의원이 뇌물 수수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시장의 수사에 개입했다는 녹취록이 공개돼 파문이 일고 있다. 대구 북구의 경우 북구청장 후보 경선에 나선 대구시의원이 한나라당 대구시당 공심위원장인 서상기 의원의 공직 사퇴를 주장했다. 후보 2배수 압축 과정에서 공심위 여론조사에서 2위를 한 자신을 배제하고 3위 후보를 경선 후보로 결정했다는 것이다. 다른 지역에서도 후보 내정설을 주장하며 반발하는 등 지역 국회의원의 공심위 무력화 시도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이번 지방선거는 천안함 침몰 사건으로 선거 분위기가 달아오르지 않고 있다. 따라서 공천 잡음은 유권자들에게 정치 혐오감을 심어 선거에 대한 관심을 반감시킨다. 더욱이 지역 발전에 매진해야 할 단체장을 국회의원의 눈치나 보는 하수인으로 전락시키는 후보 결정은 지방자치를 후퇴시킨다.

대구'경북 지역은 한나라당이 압도적 지지를 받고 있는 터여서 한나라당 후보가 당선자나 다름없다. 이런 상황에 후보 검증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능력 있는 후보 대신 지역 국회의원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후보가 당선되고 지역 발전은 지체될 수밖에 없다. 지방선거는 지역 일꾼을 선출하는 선거이지, 국회의원 심복을 심는 선거가 아니다. 한나라당 지역 국회의원들은 잘못된 후보 결정이 지역 경쟁력을 후퇴시킨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