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자나무 울타리를 돌 때
너는 전반부 없이 이해됐다
너는 주석 없이 이해됐다
내 온몸에 글자 같은 가시가 뻗쳤다
가시나무 울타리를 나는 맨몸으로 비집고 들어갔다
가시 속에 살아도 즐거운 새처럼
경계를 무시하며
1초 만에 너를 모두 이해해버린 나를 이해해 다오
가시와 가시 사이
탱자꽃 필 때
나는 너를 이해하는 데 1초가 걸렸다
---------
무릇 사랑이란, 단 "1초 만에 너를 모두 이해해버리"는 것이다. 직방(直放)의 사랑이라면 당연히 그래야 하지 않을까. 그게 바로 사랑의 위력이기도 하거니와, 사랑은 이토록 철저히 직관(直觀)이라는 왕국의 신민(臣民)인 셈이다. 시인에게 사랑이란, '너'를 "전반부 없이 이해"하는 것, "주석 없이" 이해하는 것이다. 그러할 때 그는 마치 "가시나무 울타리를/ 맨몸으로 비집고 들어가"듯, "온몸에 글자 같은 가시가 뻗치는" 듯, 고통스러울 만큼 강렬한 느낌에 휩싸이게 될 것이다. 기꺼이 그러해야 할 것이다. "가시 속에 살아도 즐거운 새처럼/ 경계를 무시하며" 말이다. 탱자꽃은 "가시와 가시 사이"에서 아름다운 별무리처럼 오롯이 돋아난다. 그게 사랑이다. 이해해다오 그대들이여. 보라, 시인은 시에서 사랑이란 말을 단 한 번도 쓰지 않았지만, 그러고도 할 말 다 했지 않는가. 그러니 그대들이여, 사랑에 대해 요모조모 묻지도 따지지도 말라.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