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Joey & Leah의 좌충우돌 온누리 탐험기](5)히말라야의 새로운 문제

'천혜의 설경' 계곡 계곡마다 쓰레기 지천

산간지역인 만큼 맥간(맥클러드 간즈·McLeod Ganj)이나 박수(Bhagsu)에는 자연이 살아 있다. 눈부신 히말라야의 설경, 올챙이와 반딧불이가 노니는 시내, 뜨거운 햇살 아래 시원한 그늘을 선사하는 소나무 등이 맥간·박수에서의 생활을 풍요롭게 한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모습 때문에 문제점도 생겨난다. 바로 쓰레기와 용수 문제이다.

◆살아 있는 자연에 감동

숙소 때문에 매일 오르내렸던 계곡에는 자연이 살아 있었다. 폭포에서 흘러내린 물이 고인 곳에는 어김없이 조그만 올챙이떼가 무리를 이루었다. 거울처럼 투명한 계곡물 속에서 헤엄치는 모습이 여간 귀여운 것이 아니다. 늦은 밤 계곡을 건널 때는 항상 걸음을 멈추고 올챙이떼와 인사를 나누곤 했다. 계곡 사이로 날아다니는 반딧불이의 모습은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었다. 플래시를 끄고 가만히 하늘을 바라보면 언제나 별빛이 찬란했다. 새벽녘 방을 나서면 새카만 밤하늘에 은하수가 흩날리는 것을 한참동안 바라보곤 했다. 돌이켜 보니 한국에서 마지막으로 은하수를 본 게 언젠지 기억도 제대로 나지 않았다.

어느 일요일, 계곡을 따라 내려가다 본 도롱뇽이나 도마뱀에 이름을 알 수 없는 나비며 온갖 형태와 색깔의 산초(山草)도 잊을 수 없다. 원숭이나 까마귀, 독수리까지 박수와 맥간 지역의 생태계는 여간 풍부한 것이 아니었다. 심지어는 방 안 구석에 떡하니 자리잡은 전갈까지 봤으니 그 정도를 짐작할 만하다.

◆관광개발 가속 vs 환경오염 심화

외양은 이렇게 자연 친화적이지만 맥간이나 박수에는 쓰레기나 용수 부족 등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좁은 산간 지역에 매일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관광객이 집중하면서 발생하는 부작용이다.

쓰레기 문제는 어딜 가나 과자 봉지며 음료수 포장, 물통을 볼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심각했다. 전망대에서 경치를 바라보다 아래를 보면 어김없이 쓰레기 더미다. 일부러 집중적으로 쓰레기를 갖다 부었나 싶을 정도여서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도로 곳곳은 마시고 난 생수병이 나뒹굴었다.

원인은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인도인들의 습관이었다. 박수의 계곡이 전형적인 예. 주말마다 계곡을 찾은 인도인 관광객들로 북적이는 계곡은 매주 월요일이면 쓰레기로 가득했다. 술병이며 과자 봉지, 1회용 접시 등 종류도 셀 수 없을 정도. 아무 거리낌 없이 신선한(?) 쓰레기를 선사하는 이들은 아름다운 자연을 즐길 줄은 알았지 보존해야 한다는 개념이 없는 것처럼 보였다. 인도에서 몇 달을 더 지내면서 지켜봤지만 남녀노소는 물론 배우고 못 배우고의 차이도 없었다. 몬순 기간에는 비 때문에 쓰레기가 생활용수를 오염시키기도 한다. 이런 까닭에 여행객은 물론 현지인도 배탈로 고생을 할 정도란다.

용수 부족도 고질병으로 보였다. 몬순 기간이라 비가 많이 내리기에 사정이 나을 법도 하지만 물탱크가 비어 화장실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잦았다. 일부 숙소에서는 샤워할 물도 부족해 여행객들이 고생한다는 얘기도 들렸다. 여름 몬순 기간에 쉼없이 내리는 빗물을 활용하는 방법을 생각해 보면 괜찮을 것 같은데, 아직은 그런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다.

해마다 맥간 지역을 찾는 관광객이 늘고 있고, 이에 맞춰 새롭게 짓고 있는 관광객 대상 영업용 건물도 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이러한 문제는 쉽게 풀릴 것 같지 않아 보였다.

◆급한 불 끄기 나선 외국인 손길

이런 상황에서 그나마 다행이라면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먼저, 티베트 정착 사무소(TSO) 차원에서 '청정한 고지대 다람살라안' 정도로 해석할 수 있는 '클린 어퍼 다람살라 프로젝트'(Clean Upper Dharamsala Project)를 실행 중이다. 주요 지역에 설치한 쓰레기 수거함마다 적혀 있는 구호이기도 한데, 먼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 수거한 뒤 이를 재활용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대표적인 정책의 하나가 바로 플라스틱 생수병 줄이기. 식당이나 카페에서 정수한 물을 반값에 리필해 준다. 생수병 오염을 줄이자는 취지이다. 지금은 다람살라 지방 정부 차원으로까지 번져 교육과 홍보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민간 차원에서도 쓰레기 문제 해결에 힘을 기울이고 있는데 '마운틴 클리너스'(the Mountain Cleaners)라는 단체가 대표적이다. 트레킹족이 버리고 가는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트리무르티(Trimurti) 정상을 보다 못한 영국인들이 만든 단체. 매주 일요일 자원한 참가자들과 함께 산 정상에 가서 1박을 한 뒤 다음날 새벽부터 부근 청소를 한다. 관청이나 학교를 대상으로 의식 개선 활동도 펼치고 있지만 매주 수거하는 쓰레기량에 큰 차이가 없다고 하니 정말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끊임없이 이어지는 전 세계 여행객 행렬, 여기에 중산층이 두터워지면서 인도인 관광객까지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현실에서 이러한 노력의 결실이 과연 언제 맺어질지 사뭇 궁금하다.

octocho@gmail.com

octocho.tistory.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