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지역이 2007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적발된 유사석유 불법판매 건수의 4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정영희 의원(미래희망연대)이 30일 한국석유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유사석유 유통 적발 건수는 1만7천294건으로, 이중 갓길에 차량을 세워놓고 판매하는 유형 등 비석유사업자 적발 건수가 1만4천418건(83.3%), 석유사업자 적발 건수가 2천876건(16.7%)이었다.
비석유사업자 적발 건수를 광역 시·도별로 집계한 결과 대구가 3천668건(25.4%)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북 2천370건(16.4%), 인천 1천588건(11%), 경기 1천574건(10.9%), 부산 1천263건(8.8%) 순이었다. 특히 대구는 2008년부터 3년 연속 적발 건수 1위의 불명예를 안았다.
유사석유 단속 주무기관인 석유관리원의 전국 지사는 7곳, 시험·검사 직원은 105명인데, 대구경북의 경우 지사 1곳, 직원 15명에 불과한 것이 이 같은 지역편중 현상을 초래했다고 정 의원은 지적했다. 정 의원은 "유사석유 유통의 사각지대부터 집중 관리해야 한다"며 "단속 인력을 늘리는 한편 신고 활성화를 위해 포상금 제도를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상전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