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뱃길만 봐도 우리 땅" 동해해류, 독도 돌아 U턴

국립해양조사원 분석…"해류 형태 통해 고대 뱃길 추정"

동해 바닷길 분석을 통해서도 독도가 고대부터 우리땅이었음이 밝혀졌다.

국립해양조사원(원장 심동현)은 1993∼2008년 인공위성 자료를 토대로 만들어낸 동해 해류도를 분석해 "독도가 고대에도 우리 영토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고 31일 밝혔다.

해양조사원에 따르면 대한해협을 통과해 동해로 유입된 대마난류는 세 개의 분지류(동한난류, 외해분지류, 일본 연안분지류)로 갈라지는데, 이들 분지류는 다시 만나 사행(蛇行·뱀 모양과 같이 굽이흐름)해 소용돌이를 만든다. 동해 해류는 대한해협에서 시작해 울릉도, 독도를 돌아 다시 대한해협으로 돌아온다. 대한해협은 다시 쓰가루해협, 쏘야해협, 타타르해협을 통해 동중국해, 북서태평양, 오호츠크해와 연결된다.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동한난류는 37-39°N 부근에서 동쪽으로 이안(연안에서 멀어짐)하여 울릉도 북쪽 해역을 지나면서 동쪽으로 흐르거나 사행해 독도해역으로 남하한 후 일본 오키군도 부근에서 북동방향으로 흐른다는 것.

이 해류의 유속은 최대 0.5 m/s이상이며, 특히 울릉도와 독도 부근 해역에서 사행한 해류는 반경 약 100km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소용돌이로 나타난다.

국립해양조사원은 "해류의 이런 형태를 통해 고대 뱃길을 추정할 수 있다" 며 "현재의 동해 해류 흐름을 바탕으로 한반도 내륙에서 울릉도와 독도, 일본 방향으로의 고대 뱃길을 짐작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원시선박(뗏목이나 통나무배)으로 경주, 포항 부근에서 동한난류를 따라 울릉도로 항해가 가능하며,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계방향의 울릉 소용돌이 흐름을 이용하면 울릉도에서 독도사이에 왕복 항해도 가능하다는 것.

해양조사원은 "한반도 내륙에서 울릉도를 거쳐 독도로 흐르는 해류와 울릉도와 독도에서 발생하는 시계방향의 소용돌이는 기원전부터 독도에 대한 우리의 접근성과 영향력을 강하게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울릉·허영국기자 huhy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