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갈라산 등산로 입구 사붓골 마을에 사는 이정기(80·안동시 남선면 도로리) 할아버지는 요즘 날씨가 추워지면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다. 지난봄 화재로 평생을 의지해 살던 집을 한순간에 잃어버리고 천막생활을 하는 탓에 동장군이 엄습하는 게 걱정되기 때문이다.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군불 불티가 그만 집에 옮겨 붙어 난리가 나고 말았지요. 허허 내 참." 그동안은 천막으로 대충 비를 가리고 지낼 수 있었지만 최근 기온이 뚝 떨어져 집안으로 냉기가 스며들면서 어려움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방 두 칸 부엌 한 칸 7평짜리 작고 볼품없는 오두막집이지만 이 할아버지한테는 한평생 산골마을에서의 삶이 고스란히 녹아 있던 곳이었다. 태어나고 자라고 결혼해서 신방 차리고, 부모님을 정성껏 모신 것은 물론이고 자식들도 이 오두막에 의지해 다 키워냈다.
"집을 고쳐야 하는데 엄두가 나질 않네요." 온몸이 쑤시는 노환으로 거동조차 어렵기에 숯덩이가 된 집을 쳐다보면 눈물만 울컥 나온다. 게다가 한 달 살림살이가 고작 쌀 한 말에 의지해 사는 형편이니 더욱 그렇다. 모두 14가구가 옹기종기 모여 사는 이 마을 주민들은 연세가 가장 높은 이 할아버지의 기막힌 처지를 기회 닿을 때마다 외부에 알렸지만 경기가 어려운 탓인지 지금까지 아무도 나서 주는 이가 없단다.
이 할아버지는 부인인 우분술(78) 할머니를 기다리는 게 하루 일과다. 요즘은 해가 짧아져 어둠이 내리는 저녁이 되어야만 일을 나간 할머니가 귀가한다. 이때가 하루 중 가장 기쁘다. 그러니 해가 지도록 혼자 마당을 서성거리며 할머니를 기다린다. 산골 노부부의 생계를 짊어진 할머니가 품팔이로 힘들게 일하는 것을 생각하면 방안에 누워 있기가 너무 미안하다는 게 할아버지의 이야기이다. 온종일 혼자 남겨 둔 병든 할아버지가 걱정되기 때문에 할머니는 일을 마치고 종종걸음으로 오두막집으로 돌아온다. 일 년 농사라고는 산비탈 밭 3천㎡에 남의 다락논 부치는 게 고작이다. 그러니 한 달에 1만5천원하는 전기료도 아끼고 산다.
"집사람이 없었으면 벌써 큰일났지요. 애들도 다 어려워서." 지난 추석 땐 자식들이 오두막집을 찾아 오지 못했다. 5남매가 서울, 부산, 대구로 나가 살고 있으나 다들 형편이 어려워서 되레 할아버지가 도와줘야 할 입장이란다. 불탄 집 처마엔 자식들에게 줄 마른 고추랑 콩, 팥이 담긴 봉지들이 매달려 있다.
아침 일찍 일을 나가는 할머니가 미리 차려 놓은 식은 점심을 혼자서 먹다 목이 멘 할아버지는 가족 모두가 의지해 기거하던 집이기에 무엇보다 소중하다고 했다. 이웃들도 집을 새로 지어 주고 싶지만 형편이 허락하지 않아 그저 발만 동동 구를 뿐이다.
안동·권동순기자 pinok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