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늦가을 피부건조증

스트레스는 수분 보호막까지도 녹여버린다

춥고 건조한 계절에 피부를 찾아오는 불청객, '피부건조증'은 어떤 증상일까? 원래 피부 표면에는 지방으로 이루어진 보호막이 얇게 덮여있다. 그 아래에 젖산, 요소, 카르복실산, 아미노산 등의 자연 보습인자를 가지고 있어서 피부의 물 함유량을 20~35% 정도로 유지시키고 있다. 그런데 여러 가지 이유로 피부 바깥층의 물 함유량이 10%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피부가 당기고 따갑게 느껴지게 된다. 점차 피부에 각질이 일어나게 되고 화장도 잘 받지 않으며 피부가 아주 민감해져 각종 자극에 쉽게 피부염이 발생한다. 이처럼 피부가 바짝 마르면서 가려움증을 보이는 상태를 흔히 피부건조증이라고 부른다.

◆늦가을에 심해지는 이유는?

습도가 낮아지고 찬바람이 불어 피부가 건조해지는데다 밀폐된 공간에서 따뜻하게 생활하는 현대식 주거방식 때문이다. 특히 피지 분비가 적은 노인을 비롯해 당뇨병 및 신장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자에게 심하다. 아울러 아토피피부염 환자는 피부의 지방보호막이 선천적으로 약하고 자연 보습인자가 부족해 피부건조증이 잘 생긴다. 주로 피지 분비가 적은 정강이 부위에 잘 발생하고, 이 밖에 허벅지나 복부, 옆구리에도 잘 생긴다. 낮보다 밤에 더 가렵고 피로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증세가 심해진다.

특별한 이유 없이 피부가 건조하고 가려울 수도 있다. 몸에 다른 이상이 생겼다는 신호다. 스트레스, 당뇨, 빈혈, 비타민A 불균형, 만성신부전, 만성간질환, 갑상선질환, 악성종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하다.

◆예방하는 방법은?

피부를 지나치게 문지르거나 비누나 세제를 많이 사용해서는 안 된다. 너무 뜨거운 목욕이나 찜질방을 피하고 목욕 후에는 피부의 물기가 다 마르기 전에 보습제를 전신에 발라주는 것이 좋다. 보습제는 시중에 많이 있지만 일반인들이 고르기가 쉽지 않다. 피부 전문가의 도움을 얻어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일반 비누는 피부를 알칼리성으로 변화시켜 피부를 더욱 자극한다.

이 때문에 세제성분이 적고 사용 후 비누성분이 잘 남지 않는 약산성이나 중성 비누 또는 물비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면이 아닌 다른 소재로 만든 옷이나 몸에 꼭 끼는 옷은 피부를 자극해 건조함과 가려움을 악화시킨다. 난방을 하는 건조한 실내에서도 촉촉한 피부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물을 자주 마시고 가능하다면 과일도 자주 섭취해서 수분을 보충한다.

◆밤에 유난히 가려운데?

피부 건조로 인한 가려움증은 밤에 더 심해진다. 밤새 긁다 보면 제대로 자지 못하고 피부가 더욱 예민해져 부위가 주위로 번진다. 게다가 심하게 긁어서 상처가 생기면서 세균 감염으로 곪을 수도 있다. 무턱대고 가려움증을 참지 못해 아무 연고제나 사용하면 고질적인 습관성 피부질환으로 옮겨갈 수 있다. 가려움증이 계속 심해지면 전문의 지시에 따라 먹는 항히스타민제와 보습제로 가려움증을 완화시키며 생활습관을 바꿔서 재발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실내온도는 너무 높지 않게 하고, 가습기를 충분히 틀어 습도를 40% 이상으로 적당하게 유지한다. 자기 직전에 땀을 흘리는 운동은 하지 않는 편이 좋다.

김수용 ksy@msnet.co.kr

도움말=계명대 동산병원 피부과 이규석 교수

1. 목욕물에 윤활제를 섞어 사용하고, 목욕 후에는 보습제를 전신에 바른다.

2. 사우나, 찜질방 목욕을 너무 자주 하지 않는다. 뜨거운 탕에 오랫동안 있지 않는다.

3. 비누를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다. 필요 시에는 비누 성분이 없는(soaf-free) 세제를 사용한다.

4. 때수건으로 너무 강하게 피부를 밀지 않는다. 피부 보호막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5. 면 내의를 입는다. 모(毛)는 피부를 자극한다.

6. 찬바람을 바로 쐬지 않는다. 피부를 따뜻하게 보온한다.

7. 정신적 긴장은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항상 적당한 운동과 휴식이 필요하다.

8. 카페인이 많이 들어 있는 커피, 홍차, 초콜릿, 술, 콜라 등도 가려움증을 악화시킨다.

9. 내복약으로는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한다. 얼음주머니나 뜨거운 물병을 대면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