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공동모금회, 철저한 쇄신으로 믿음 쌓아야

공금 유용과 직원 채용 의혹 등으로 시끄러웠던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쇄신 방안을 내놓았다. 한 번이라도 공금 횡령이나 금품수수, 향응접대가 적발되면 해당 직원을 해임하고, 횡령 금액의 3배에 이르는 징계부가금을 징수하기로 했다. 또 중앙회와 전국 16개 지회에 시민감시위원회 설치, 지회 사무처장과 중앙회 간부의 순환근무 등이 주요 내용이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각종 비리는 엄청난 충격이었다. 보건복지부의 감사 결과 지난 5년간 유흥비 등으로 쓴 금액이 7억 5천여만 원에 이르고, 이러한 불법 행위에 가담한 직원도 50%나 됐다. 비리 불감증이 모금회 전체에 퍼져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비리가 드러나면서 기부를 꺼리거나, 기부 약속을 철회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기부 문화의 기본은 서로의 믿음이다. 이 믿음이 바탕 되지 않으면 누구도 기부를 하지 않는다. 더구나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민간 운영 형태를 띠고 있지만 국가가 관장해 모금 창구를 일원화한 기구다. 이 기구조차 믿을 수 없다면 당장 기부는 물론, 앞으로 기부 문화의 확산도 전혀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모금회의 비리는 우리 사회의 건전한 기부 문화를 후퇴시켰다. 어느 비리보다 엄중하게 처벌하고,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해야 하는 이유다.

모금회는 제시한 쇄신안을 철저하게 이행해야 한다. 다시는 비리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모든 운영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뼈를 깎는 반성이 뒤따라야 함은 물론이다. 또 당장 성금액이 줄어 어려운 이웃이 도움을 못 받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는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불가능하다. 이번 쇄신안의 철저한 실천을 믿고, 다시 성금 기부에 적극 동참하는 성숙한 국민 정신을 기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