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 北 감싸기 언제까지… 느닷없이 6자회담 제의

李대통령 "시기 아니다"…방한 다이빙궈 특사 머쓱

이명박 대통령과 중국의 외교 실무책임자인 다이빙궈 국무위원(부총리급)이 28일 청와대에서 면담을 가졌으나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등 한반도 안보 위기에 대한 뚜렷한 입장 차이만 확인했다. 중국 측은 북한 도발에 대한 책임 문제는 전혀 거론하지 않은 채 평소 주장해 온 북핵 6자회담 재개를 다시 들고 나왔고, 이 대통령은 "지금은 6자회담을 논의할 때가 아니다"며 반대 입장을 강하게 밝혔다.

이 대통령은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원자바오 총리의 특사로 방한한 다이 국무위원 일행을 2시간여 동안 만나 "중국이 남북관계에서 보다 공정하고 책임 있는 자세로 한반도 평화에 기여해달라"고 촉구했다. 또 "북한이 고농축 우라늄 프로그램을 공개한 데 이어 민간인까지 공격한 것은 중대한 사태 변화"라며 "한국정부는 6·25전쟁 이후 북한의 끊임없는 도발을 계속 인내해 왔지만 이번에 북한이 추가 도발해 온다면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천명했다.

다이 위원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이 긴요하다'는 후 주석의 구두메시지를 전한 뒤 "남북한 평화를 위해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며 "한반도 평화를 위해 한·중 간 전략적 소통이 강화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면담에 배석한 뒤 베이징으로 돌아간 우다웨이 중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는 긴급 기자회견에서 "12월 상순 베이징에서 각국의 관심사와 중대 현안을 논의하는 6자회담 수석대표 긴급 협의를 갖자"고 제의했다. 중국의 이 같은 제안은 우리 측의 기대와는 완전히 동떨어진 것으로, 정부는 외교통상부 논평에서 "현 상황을 감안할 때 6자회담 수석대표 회의 개최는 매우 신중하게 검토돼야 한다"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