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분노 삭히고 對정부 '실탄' 장전을"

밀양유치 관련단체들 향후 대응책 마련 부심

정부의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발표 이후 신공항 밀양 유치 관련 단체들이 '신공항 불씨'를 살리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를 통해 드러난 정부의'지방 죽이기 정책'에 감정적이고 일시적인 분노만으로는 정부를 압박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기 때문.

특히 유치 관련 단체들은 정부가 백지화를 발표한 이면에 한나라당 텃밭인 대구경북의 분노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는 오판이 깔렸다고 판단하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1일'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절대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다양한 대응 방안을 고민 중이다. 우선 '4개 시'도 신공항 밀양 유치 추진단'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4개 시'도에서 추진단에 파견하는 공무원 인원을 늘리고, 예산도 증액시키기로 했다. 추진단 관계자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홍보자문단도 대폭 확대해 여론전에 대비한다는 구상이다.

부산과의 연대도 모색하고 있다. 영남권의 분열이 신공항 백지화에 악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에 따라 부산과의 소통을 강화하기로 한 것이다.

정부의 백지화 발표 자료 공개에 대비한 준비에도 착수했다. 관련 전문가들이 정부의 자료가 공개되면 공개질의를 통해 '짜맞추기 채점'평가'였다는 점을 논리적으로 밝혀낼 계획이다.

특히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의 근거가 된 2009년도 국토해양부 용역 결과의 허구성도 입증시킬 계획이다.

박광길 동남권 신국제공항 밀양유치 추진단장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생각으로 독립적이고 체계적인 추진단을 만들 계획이다. 다음주부터 4개 시'도와 구체적으로 논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사회단체들도 장기전에 대비한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이들 단체는 내년에 총선과 대선이 예정돼 있다는 점에서 시민 여론을 모아 정치권을 압박한다는 방침이다.

밀양 신공항 유치에 나섰던 130여 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밀양시민연대도 내년 총선과 대선까지 대정부 규탄 투쟁을 벌인다. 이를 위해 영남권 5개 시'도민 단체들과 수도권 상경 투쟁, 촛불 집회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