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삼성 달라지려나?" 대노한 이건희 회장, 삼성 조직문화에 칼댄다

"삼성의 조직문화 달라지려나?" 부실한 성능과 제품결함으로 연평도 사태 때만 아니라 평소에도 K9자주포에 대한 의구심이 국민사이에 팽배한 가운데 K9자주포를 생산하는 삼성테크윈에 대한 정밀 경영진단 과정에서 대노한 이건희 회장이 삼성 조직문화에 칼을 댈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포털의 검색어를 우선순위를 장식한 '삼성 이건희 대노' 관련 키워드가 뜨게 된 것은 삼성의 얼굴에 먹칠을 한 K9자주포를 생산하는 삼성테크윈을 포함한 계열사를 자체 감사하는 과정에서 삼성테크윈 임직원들의 부정이 발견된데 따른 것이다.

이에따라 자신은 부정을 저지르지 않았지만 기업경영의 책임을 지고 삼성테크윈 오창석 사장이 8일 삼성 수요 사장단 회의에서 김순택 미래전략실장으로부터 이 회장의 질타를 전해듣고 곧바로 사의를 표명한 것도 이런 맥락 때문이다. 오창석 삼성테크윈 사장은 삼성의 핵심 가치이자 최고의 기업 가치로 여겨온 '깨끗한 조직문화'가 훼손된 점에 대해 대표로서 지휘 책임을 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건희 삼성회장은 9일 출근길에 "삼성테크윈에서 우연히 나와 그렇지 삼성 그룹 전체에 부정부패가 퍼져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건희 회장은 "과거 10년간 한국이 조금 잘 되고 안심이 되니깐 이런 현상이 나오는 것"이라며 "부정부패엔 향응도 있고 뇌물도 있지만 제일 나쁜 건 부하직원을 닦달해서 부정을 시키는 것이다. 그 부하는 나중에 저절로 부정에 입학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삼성이 CEO나 임직원의 부정에 대해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 것은 창업자인 고(故) 이병철 회장의 철학에 바탕을 두고 있다. 대구에서 삼성상회를 시작으로 기업을 일이큰 고 이병철 창업주는 "일을 잘하려고 하다가 저지른 실수는 너그럽게 용서하겠지만, 사욕을 위해 부정을 하거나 거짓 보고를 하거나 불성실한 자세로 업무에 임하는 것은 용인하지 않는다"며 "이를 용인하는 것은 자신은 물론 기업이나 국가에 다 같이 누를 끼치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후로 삼성에서 부정은 금기로 통했고 임직원이 부정을 저지르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예외 없이 엄중한 조처를 해왔다. '신상필벌'(信賞必罰)과 '예외 없는 적용'의 인사 원칙을 고수해온 것이다. 이건희 회장은 이번 인사 조치 후 "삼성에서 '청결한 조직문화'는 어떤 것과도 바꿀수 없는 소중한 자산이다.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같은 맥락에서 삼성 미래전략실과 계열사의 감사 기능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이 회장은 "감사 책임자의 직급을 높이고 인력도 늘리고 자질도 향상시켜야 한다"고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당장 전무급인 삼성 미래전략실의 경영진단팀장의 직급이 상향되고 미래전략실 및 계열사 감사 담당 인원도 대폭 보강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 관계자는 "감사팀이 소신있고 단호하게 감사하는 데 내부적인 요인이 장애가 돼서는 안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삼성테크윈 사건을 계기로 삼성이 조직문화를 다시한번 재정비하여 내부적으로 부정부패가 없는 청정 기업을 만들어갈 뿐 아니라 수많은 삼성 하청업체들과의 상생에도 더 관심을 갖는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다질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뉴미디어국 magohalm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