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전 11시 50분쯤 인천시 강화군의 해병대 해안 경계작전부대 내무반에서 김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 부사관 등 4명이 숨지는 참사가 발생했다. 김 상병을 제지한 권모 이병이 총상을 입었고 김 상병은 창고로 이동, 수류탄을 터트렸으나 부상에 그쳤다. 나라를 지키기 위해 군대에 입대한 젊은이들이 군기 문란으로 생명을 잃는 것은 충격적이며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2005년 경기도 연천의 육군 최전방 부대 내무반에서도 김모 일병이 수류탄을 투척하고 총기를 난사, 8명이 숨지고 2명이 다치는 비극이 빚어졌었다. 당시 김 일병은 상급자들에게 언어폭력을 자주 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참사는 가해자인 김 상병이 진술을 거부하고 있어 정확한 경위가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그가 '관심 사병'으로 분류될 정도로 부대원과 관계가 원만치 못하고 부대 생활에 적응하지 못한 것이 한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해병대는 지원병으로 구성돼 정예 강군의 상징으로 통하지만 올 3월 국가인권위원회 조사 결과 모 부대에서 구타와 음식을 강제로 먹이는 가혹행위가 있었다고 알려졌다. 강압적인 분위기는 부대원들의 갈등을 초래할 수 있는 요소이니 만큼 지휘관들이 관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이다. 이번 참사의 원인을 철저히 조사, 총체적으로 점검하고 대책을 세워야 할 상황이다.
우선적으로 허술한 총기 관리가 강화되어야 한다. 김 상병은 잠금장치가 따로 없는 상태에서 총기와 탄약을 훔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구타나 가혹행위 등이 근절되어야 하고 관심 사병에 대해 실시되고 있는 상담 제도도 보완되어야 한다. 귀중한 자식을 입대시킨 후 애태우는 부모들을 생각한다면 군 당국은 재발 방지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