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칙도 룰도 없는 자리다툼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한나라당 경북도당위원장 선출을 위해 25일 후보 3인이 회동한다. 이병석(3선)'장윤석(재선) 의원은 회동에 앞서 '경선이라는 최악의 선출 방법은 막자'는데 뜻을 밝혔고, 최경환 의원(재선)도 표대결까지는 가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간접적으로 밝혀왔다. 또한 이날 조정을 해보고 안 되더라도 27일까지 표대결로 가는 상황은 막아보자는 원칙에는 동의를 표하고 있어 막판 '평화적인' 결론 도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치권에서는 조정으로 갈 경우 다선이자 연장자, 무당직 등의 관행으로 볼 때 이 의원이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고 표대결로 갈 경우에는 친박계를 포함해 지지세가 두 후보보다 더 많은 최 의원으로 결론이 날 확률이 높다는 관측이 많다.
이와 관련, 이 의원은 25일 "선수 우선, 연장자 순, 국회'당직 겸직 금지라는 아름다운 룰과 관행을 흔들 수 없다. 순리와 상식대로 가는 것이 맞다"고 했다. 자신이 순리라는 주장이었다. 이 의원은 그러나 "누가 도당위원장을 맡든 동료의원들에게 부담을 주고 서로에게 상처를 주는 쪽지투표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장 의원도 "지금 도당위원장 선출은 도민과 당원의 뜻을 거스르는 자리다툼으로 밖에 비쳐지지 않는다"며 "저부터 양보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나머지 후보들을 만나 이야기가 잘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장 의원의 이 같은 언급은 이날 회동에 앞서 도당위원장직을 양보하겠다는 뜻을 시사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에 앞서 경북지역 국회의원들은 22일 모임을 갖고 25일 회동에서 3인 간에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김태환'이인기 전 도당위원장, 김광림 도당위원장 권한대행, 정해걸 의원 등이 경북 의원들을 직접 만나는 등의 방법으로 뜻을 모으로 한 명을 추대한다는 원칙을 정한 바 있다. 이는 4인 협의체의 추대형식이지만 결국 표대결과 같은 양상으로 전개되는 것이어서 비판의 소지가 클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정치권에서는 "정치의 요체인 타협과 조정 능력도 상실한 지역 국회의원들의 모습에서 지금의 한나라당의 현주소를 그대로 읽을 수 있다"며 "예전 같으면 원로급에서 교통정리도 해주었는데 지금은 초선, 다선의 구분도 없고 서로 제 살 길만 모색하는 개인주의가 국회의원들 사이에서도 팽배하다"는 비판론이 팽배하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