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냉증'은 말 그대로 손발이 차고 시려 고통받는 증상이다. 심하면 발끝이 시려 잠을 못 이룰 정도가 되며, 배가 너무 차다거나, 무릎이나 허리가 끊어질 듯 시리다거나, 몸의 어느 부분에서 찬바람이 술술 나오는 것 같다 등 여러 냉성 증상이 다발적으로 나타난다. 계절에 상관없이 나타나지만 온도가 떨어지는 겨울이 되면 증상이 심해져 가벼운 추위에도 사지말단에 동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더운 한여름에도 양말을 신지 않으면 잘 수가 없는 경우도 있다.
대개 스스로 시리다고 느낄 뿐 아니라 실제로도 사지말단이 싸늘해서 악수를 할 때 상대방이 깜짝 놀라기도 한다. 이때문에 차츰 다른 사람과의 신체적 접촉을 의식적으로 꺼리게 된다. 이러한 냉증은 실제 체온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체온은 정상인데도 특이하게 손이나 발과 같은 신체의 일부분만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수족냉증을 호소하는 것은 여성에게 절대적으로 많다. 나이와는 특별히 상관 없으며 소화기가 허약해 잘 체하고 설사를 잘하거나 호흡기기능이 약해 평소 감기를 자주하고 추위를 많이 타는 사람에게서 흔하다.
평소 증상이 없던 여성도 분만을 한 경우 산후조리가 불량해 발병하기도 한다. 마치 온몸에 바람이 든 무처럼 느껴지고, 따뜻한 실내에서도 추위를 많이 느끼며, 어깨'무릎'손목 등 관절이 시큰거리기도 한다.
한의학적인 병리로 볼 때, 여기엔 대표적 원인 몇 가지가 있다. 첫째는 몸을 데우고 신진대사를 유지시키는 양기(陽氣)의 부족으로 한사의 침범이 일어난 경우이다. 이런 경우는 양기 부족으로 인한 안면창백, 설사, 피로 등의 증세가 수반되는데 국소증상의 치료와 함께 양기를 돋우는 치료를 통해 근본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둘째는 정신적인 울체로 인해 양기가 인체의 일부분에 울결돼 마치 양기 부족으로 인한 제반 증세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 울체된 기운을 원활하게 순환시켜 쉽게 치료할 수 있다.
셋째는 담습이 성한 비만 체질로 기혈의 흐름이 정체돼 사지말단의 체온이 떨어지는 경우다. 이때는 기혈이 순환을 돕는 처방과 함께 비만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병행되면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가벼운 수족냉증이 발생한 뒤엔 당연히 몸을 따뜻하게 하고 가능한 찬 기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규칙적이고 꾸준한 운동이나 맛사지가 초기 치료에 큰 도움이 된다. 기혈을 울체시키는 스트레스를 피하고 열량이 높은 고단백 식이를 섭취하고 비타민과 무기질의 섭취를 늘리는 것도 좋은 예방법이다.
백승희 오드리여성한의원 원장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