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형산강 절경 금장대 복원…정면 5칸 누대 내년 8월 준공

금장대 복원 추정도.
금장대 복원 추정도.

경주 형산강의 절경지인 금장대가 복원된다.

경주시는 형산강권 문화관광 거점 선도사업으로 금장대 복원을 하고 있으며, 8일 '금장대 복원 및 주변정비 사업' 보고회를 개최했다.

금장대는 신라의 세가지 보물과 여덟가지 괴이한 현상의 삼기팔괴(三奇八怪) 중 하나인 금장낙안(金丈落雁)으로 유명하다. 날아가는 기러기가 넓은 강변과 푸른물로 장관을 이루고 있는 금장대의 절경으로 인해 반드시 금장대에 앉았다 간다고 해 금장낙안이라 불렸다.

금장대는 형산강에 기러기 앉은 모습의 풍경이 빼어나 옛 신라 왕들이 이곳을 즐겨 찾은 곳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곳은 형산강의 남단 모량천과 기린천이 합류하고, 서천과 토함산 일원에서 발원해 명활산을 거쳐 경주시내로 흐르는 북천을 정면에서 마주하고 있어 때로는 장엄한 분위기마저 느낄 수 있는 관광명소이다.

신라 제20대 자비왕 때 을화(乙花)라는 기생이 이곳에서 왕과 연희를 즐기는 도중 실수로 빠져 죽었다는 전설이 있는 예기청소(藝技淸沼)이기도 하다. 예기청소는 김동리 소설 무녀도의 배경이 되기도 한 곳이다.

금장대에는 선사시대 부족민들이 바위에 그림을 그려 신에게 소원을 빌었을 당시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방형기하문, 삼각형기하문, 원형다공문, 사람발자국, 여성생식기, 배, 사냥모습 등 다양한 바위그림 금장대 석장동암각화가 있어 문화유적지로서의 가치가 대단한 곳이다.

2010년 12월 발굴결과 동서18m×남북10m 건물터와 공양석상, 거북문석상(통일신라), 철판 17점, 평기와 46점 등이 발굴됐고, 이를 토대로 정면 5칸 측면 2칸의 금장대를 이달 중 착공해 내년 8월에 준공할 예정이다.

'기러기가 떨어지다'란 의미의 금장낙안의 금장대는 내년 10월 경주에서 열릴 국제 펜(pen) 클럽 대회 등 문화예술의 행사장으로 활용된다.

경주'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