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지역의 주택 대출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대구'의 증가율은 전국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의 낮은 주택대출 증가율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신규 분양이 줄어든데다 보수적인 집 구매 성향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비수도권의 예금취급기관 주택대출 잔액은 113조4천812억원으로 2009년 12월 말 97조7천24억원보다 16.1% 늘었다. 같은 기간 수도권 주택대출 잔액은 240조7천730억원에서 263조2천836억원으로 9.3% 늘어나는 데 그쳤다. 비수도권 주택대출 증가율이 수도권의 1.7배에 달한 것이다.
전국 주택대출 잔액은 6월 말 현재 376조7천648억원으로 지난해 말(338조4천754억원)보다 11.3% 늘었다.
시'도별로 보면 전남이 35.0%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고, 전북(24.8%), 인천(23.0%), 대전(22.5%), 부산(22.3%), 광주(21.9%) 등도 20%가 넘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경북은 15.35%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반면 대구는 4.6%를 기록해 충북(4.7%)과 서울(7.0%)보다 낮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금융권 관계자는 "2007년 이후 대구 집값이 큰 폭으로 떨어져 집 구매에 신중한데다 신규 분양도 예전에 비해 50% 이하 수준에 머물고 있어 주택 대출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가계대출 증가율도 비수도권이 높았지만 '대구'는 낮았다.
2009년 말부터 6월 말까지 수도권의 가계대출은 362조9천540억원에서 402조8천898억원으로 11.0%, 비수도권은 187조7천826억원에서 214조9천630억원으로 14.5% 각각 늘어났다.
전국 가계대출은 550조7천366억원에서 617조8천528억원으로 12.2%의 증가율을 보였다.
가계대출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21.4%의 증가율을 기록한 인천이었고, 전북(19.8%), 부산(19.1%), 전남(17.8%), 경남(17.5%), 대전(17.1%) 등이 뒤를 이었다. 대구는 8.9%, 경북은 13.45%였으며 서울은 8.7%를 기록했다. 김태진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