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부산일보, '노사갈등'으로 신문발행 중단·홈페이지 패쇄

패쇄된 부산일보 홈페이지.
패쇄된 부산일보 홈페이지.

부산의 유력 일간지인 부산일보가 편집권 독립을 둘러싼 노사갈등으로 신문발행이 중단되는 사태를 빚었다.

노조와 편집국은 30일자 신문 1면에 이호진 노조위원장에 대한 해고의 부당성을 지적하는 기사와 관련 해설기사를 2면에 싣기로 하고 편집을 마무리했으나, 사측이 윤전기 가동을 중단시키면서 이 날짜 신문발행이 이뤄지지 못했다.

홈페이지도 사측의 신문발행 중단조치와 함께 폐쇄됐다.

노조 측은 "정수재단의 사회환원과 사장후보추천제 도입을 요구했다는 이유로 사측이 노조위원장을 해고하고 편집국장을 징계위에 회부한 것은 사회적 명분과 절차적 정당성을 상실한 것으로 무효"라며 "이를 독자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사측은 "직원에 대한 징계에 불복해 이를 신문에 싣기로 한 것은 초유의 일인데다 편집권의 남용이자 발행인인 사장의 지시를 거부한 독단적인 행위여서 신문발행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부산일보의 신문발행이 중단되기는 지난 1988년 편집권 독립 쟁취 투쟁 이후 23년 만이다.

이에 앞서 사측은 사장 선임제도와 관련한 불법적인 노조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노조위원장을 징계위에 회부, 29일 면직 통보했다.

사측은 또 노조가 주장한 정수재단 환원 문제와 관련 사측의 입장을 담은 사고(社告) 게재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편집국장을 징계위에 회부했지만 노조의 반발로 열리지 못하고 있다.

부산일보 노사의 첨예한 대립은 정수재단의 사회적 환원과 사장선임 문제에서 비롯됐다.

사장에 대한 선임권은 부산일보 주식의 100%를 소유하고 있는 정수재단이 갖고 있다.

노조는 내년 2월 현 사장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정수재단의 완전한 사회 환원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한때 이사장으로 있었던 정수재단과의 완전한 분리가 돼야 편집권 독립과 신문의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며 "이는 모든 사원과 독자들의 시대적 요구"라고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사측은 "재단 이사진 구성, 사장임명 방식과 같은 경영권, 소유권에 대한 문제는 노사협의 사안이 아니다"며 "회사의 명예를 실추시키고 위계질서를 문란시킨 노조위원장과 편집국장에 대한 징계는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