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진우의 분석! 아파트] (49) 달성군 다사읍

신흥 베드타운 부상…성서산단 인접'자연환경 좋아

달성군 다사읍은 최근 가장 많이 바뀐 지역 중 하나일 것이다. 특히 죽곡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새로운 주거지로 부상하였다. 다사읍은 주변에 금호강이 흐르고 성서산업단지와 인접해 있어 자연환경이나 경제적 환경이 좋은 편이다.

다사읍은 총 가구 수가 1만8천638가구, 인구는 총 5만6천474명으로 계속 성장하고 있는 지역이다. 다사읍에는 아파트가 1만7천여 가구에 이르며 1993년부터 아파트 입주가 시작됐다. 전체 아파트 중에서 10년 이상 된 아파트는 7천250가구에 이르며, 10년 미만의 아파트는 9천700여 가구이다. 비교적 신규 아파트 비중이 높은 지역이다.

다사읍의 경우 2007년과 2008년의 입주 물량이 7천200여 가구로 일시에 몰리면서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모두 급락했다가 지난해부터 하락한 부분이 어느 정도 회복되기 시작했다.

이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올 들어 8.34% 상승했다. 이는 대구 평균 6.94%보다는 높았지만 달성군 평균 9.45%보다 낮은 수준이다. 전세가격의 경우 올 들어 9.65% 올랐다. 이 같은 상승률은 대구 평균 13.04%와 달성군 평균 11.84%보다 낮은 것이다. 다사읍이 달성군 평균보다 상승률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다사읍의 경우 지난해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모두 상승세가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다사읍의 경우 2008년 입주 물량이 급증하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하지만 지난해 전세시장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높게 나타나며 이는 매매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상승세가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이달 기준으로 다사읍의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482만원이다. 대구 평균 570만원보다는 낮지만 달성군 평균 478만원보다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다사읍의 3.3㎡당 평균 전세가격은 341만원. 이 역시 대구 평균 396만원보다는 낮게 나타나고 있지만, 달성군 평균 339만원보다는 높다.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은 70.72%로 매우 높은 편이다. 대구는 69.44%, 달성군 70.92%를 기록하고 있다.

다사읍은 분명 향후 달성군의 중심이 될 수 있는 지역이다. 특히 죽곡지역은 지리적으로 성서산단과 인접해 있고 하빈이나 성주와 가까워 외곽 수요도 어느 정도 존재하고 있다.

*다사읍 대실역청아람 2단지

대실역청아람 2단지는 2008년 10월에 입주한 단지이다. 80.81㎡형 486가구와 109.93㎡A형 468가구, 111.54㎡B형 84가구, 110.81㎡C형 84가구, 115.25㎡형 6가구, 137.79㎡형 41가구 등 총 1천316가구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난방 방식이다.

이 단지가 입주를 한 2005년은 다사읍, 특히 죽곡지역을 중심으로 5천400여 가구가 입주를 하면서 시장이 급락상황을 보였다. 특히 전세시장을 중심으로 가격이 급락하면서 매매가격에도 영향을 미쳐 전체적인 침체를 맞았다. 그러나 급전세 물량이 줄어들면서 2009년 하반기부터 전세시장의 상승세가 본격적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 전세시장의 경우 2010년부터 올해까지만 평균 45% 정도 상승하며 매매가격을 견인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대실역청아람 2단지에서도 비슷한 상황을 보이고 있다.

대실역청아람 2단지의 경우 전세가격 상승세는 죽곡지역 평균보다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높은 전세가격 상승세는 매매가격 상승세로 이어지고 있으며 지난해 가을이사시즌 이후 매매가격 상승세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추세는 중소형은 높은 상승세, 중대형은 보합세를 나타내는 것이다. 하지만 이 단지의 경우 중대형 평형에서도 전세가격의 상승세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매매가격을 견인하고 있다. 109.93㎡A형의 경우에도 입주 이후 전세가격 하락이 매매가격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2009년 가을 이사시즌까지는 가격이 하향 조정을 받았지만 2009년 가을이사시즌 이후 전세가격이 급등하면서 매매가격도 이끌어 전체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지난해 가을이사시즌 이후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이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전세의 경우 지난해 대비 4천만원 정도 상승하며 전세가격은 물론 매매가격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시세 기준으로 매매상한가격은 2억2천만원, 하한가격은 1억9천만원이다.

부동산114 대구경북지사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