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원자력의 미래 동해안에 있다] <3>원자력 클러스터 최적지

세계 원전시장 2,900조원 규모…선점위한 '수출 전진기지' 절실

경상북도는 세계 원전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국내 최대의 원전 현장인 동해안에
경상북도는 세계 원전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국내 최대의 원전 현장인 동해안에 '원자력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울진원전과 월성원전, 방폐장 전경. 성일권기자 sungig@msnet.co.kr

원자력발전은 한국 경제의 화석연료 의존도 및 에너지 수입 부담을 줄여주고 값싼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해왔다. 앞으로도 고유가와 에너지 안보, 온실가스 감축 등에 대응하기 위해 원자력의 역할은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경상북도는 세계 원전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국내 최대의 원전 현장인 동해안에 '원자력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원전 수출 전진기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전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 및 석유의존도 완화 등을 위해 2030년까지 약 490기의 신규 원전을 건설할 예정이었다. 이는 2천900조원에 달한다. 연평균 시장 규모는 약 23기로 140조원 정도로 예상된다. 이러한 거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미국과 프랑스, 일본, 러시아, 캐나다 등 원전 선진국 5개국이 원전 수출시장에 뛰어들었고, 우리나라도 지난 2009년 말 합류했다.

원자력 발전과 연구, 생산, 실증이 복합된 원자력산업 클러스터 조성은 원전 관련 신기술 상업화 및 신상품 개발을 통해 원자력 수출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따라 경상북도는 오는 2028년까지 경주와 포항, 영덕, 울진을 잇는 경북 동해안에 원자력 과학기술과 산업생산, 인력양성, 친환경 시설이 집적된 복합단지인 '원자력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원자력 산업과 연구, 교육, 문화시설이 어우러진 매머드 복합단지를 만드는 것이다. 경주와 포항, 영덕, 울진을 잇는 경북 동해안에 조성될 원자력 클러스터에는 원자력산업진흥원과 제2원자력연구원, 스마트(SMART) 시범원자로, 원자력 수소 실증단지, 원자력수출산업단지, 원자력기술표준원 등이 들어서 과학 및 산업벨트를 형성한다.

또 원자력병원과 원자력테마파크, 원자력안전문화센터 등을 도입해 친환경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국내 최대 원전 집적지

경북 동해안은 국내 최대의 원전 집적지이면서 방폐장이 있기 때문에 원자력의 생산 및 소멸의 전 과정이 존재하는 유일한 지역이다.

경북 동해안에는 원자력발전소 21기 중 절반에 가까운 10기가 있다. 월성과 울진에는 각각 2기의 원전이 건설되고 있다.

앞으로 추가 원전건설에 따른 부지 확보도 필요함에 따라 영덕군과 울진군은 강원도 삼척시와 함께 2024년 이후 원전신규부지 유치신청을 한 상태이다.

이처럼 경북은 국가 정책에 적극 기여해 왔다.

경주에는 중저준위 방폐장도 건설되고 있다. 중저준위 방폐장 부근에는 4기의 원전이 있는 월성원자력본부가 있다. 이곳에는 신월성 1'2호기가 건설되고 있다. 월성원자력본부와 방폐장이 나란히 있는 조건은 원자력 클러스터로 성공할 수 있는 장점으로 꼽힌다.

경주시 양북면과 양남면, 감포면의 주민들은 한국수력원자력 본사가 양북면 장항리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경주시는 경주 시내로 이전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양북'양남'감포면 주민들의 주장대로 양북면에 한수원 본사가 들어서면 이곳은 원전, 방폐장, 한수원 본사가 함께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경주로 이전 중인 한수원 본사와 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양성자가속기 등 원자력 인프라는 경북 동해안이 국내에서 최고 수준이다.

◆맞춤형 인재 풍부

경북 동해안은 풍부한 원자력 관련 인력을 갖고 있다.

지난달 24일 교육과학기술부는 울진평해공고를 원자력마이스터고로 최종 선정했다. 마이스터고는 고교과정부터 산업체와 협약을 맺어 관련기술과 현장지식을 배워 수요자 맞춤형 기술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과정이다.

이에 앞서 지난달 15일 경주시 양북면에 글로벌 원전 기능인력사업단이 개원해 원전관련 기능을 습득하는 인력양성체계가 완성됐다. 사업단은 경북도와 경주시, 한국수력원자력이 공동으로 설립해 특수용접 1년 과정 30명을 선발해 교육에 들어갔다.

이와 함께 경북에는 포스텍과 동국대 경주캠퍼스, 위덕대, 영남대 등에 원자력 관련 대학원 및 학과가 설치돼 있다.

이처럼 경북은 초급과 고급을 망라한 명실상부한 원자력 교육의 요람이 되고 있는 것이다.

◆'동해안 에너지 클러스터'의 중심

한국은 최근 고유가와 불시정전사태 등 에너지 위기에 노출돼 있다. 에너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그린에너지가 필요하다.

경상북도는 그린에너지를 성장동력으로 삼아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동해안 에너지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지난 2006년부터 시작한 에너지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경북 동해안지역은 335㎞에 달하는 긴 해안선과 청정해역인 동해를 배경으로 펼쳐져 있다. 이 지역에 국내에서 가동 중인 원자력발전소 21기의 약 절반인 10기가 위치해 있다. 또 풍력 및 수소연료전지 공장 등 에너지 관련 시설도 많다.

경북도는 지난 2006년 '동해안 에너지클러스터 조성계획'을 세웠다. 동해안의 풍부한 에너지 인프라를 바탕으로 그린에너지 기업과 국책사업을 유치해 경주와 포항, 영덕, 울진을 잇는 국내 최대의 그린에너지 집적지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동해안 에너지 클러스터는 지역별로 4개 권역으로 나눌 수 있다. 경주'울진 중심의 원자력 클러스터, 포항 중심의 수소연료전지 파워밸리, 영덕의 풍력 클러스터, 울진의 해양에너지 클러스터 등이다.

동해안 에너지 클러스터의 가장 큰 프로젝트가 바로 원자력 클러스터이다. 원자력 클러스터는 원전 수출시대를 대비해 전진기지를 만드는 프로젝트이다. 또 원자력은 발전단가가 저렴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어 그린에너지 산업에 적합한 에너지원이다.

경북 동해안에 원자력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은 국가정책과도 부합된다. 동해안 에너지 클러스터 사업은 동해안의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강원도의 삼척, 남쪽으로는 울산 등과 연계해 확대될 수 있다.

이밖에 포스텍과 DGIST 등 대학 및 연구기관과 방사광가속기 등 관련 시설이 집적돼 있어 시너지 효과 창출에도 유리하다.

◆ 일부 시민단체들과 반핵단체들은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에 반발하고 있다.

환경단체들이 문제 삼는 것은 유치 시설 중 제2원자력연구원이다. 이를 두고 환경단체들은 사용후 핵연료(고준위방사성폐기물)와 핵재처리시설이 들어오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 '탈 원전 정책'을 부르짖는 목소리가 높은 것도 풀어야 할 숙제다.

하지만 원자력 전문가와 경북도는 원자력 클러스터는 원전만 건설하자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원전과 방폐장 등은 경북 동해안에 있는 반면 연구와 교육시설 등은 서울과 대전 등에 있어 갈등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산업시설과 연구개발시설, 문화시설이 원전 옆에 조성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관산업이 발전하면 일자리가 생기고 지역경제가 활성화된다. 고급 두뇌가 함께 연구하고 거주하는 단지가 만들어지면 안전성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얘기다.

김무환 포스텍 첨단원자력공학부 교수는 "경북 동해안은 원전 등 인프라가 뛰어나지만 원자력 관련 연구시설은 모두 다른 지역에 있어 시너지 효과가 떨어진다"면서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서는 주민들의 동의가 가장 중요하며, 원전이 집적된 경북에 연구기관 등을 함께 조성해야 원자력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