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경북도는 문화재 예산 자랑보다 관리부터 제대로 하라

경북도가 최근 4년 연속 문화재청 국비 예산 확보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올해 확보한 예산 1천162억 원은 각종 문화재의 유지 보수와 보존 관리에 쓴다. 이와 함께 안전 경비와 문화재 지킴이 인력을 고용하는 등 모두 1천 개의 일자리도 창출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됐다고 한다.

국비 확보 1위는 당연한 결과인지 모른다. 경북은 문화유산이 어느 곳보다 많다. 국가 지정 문화재만 해도 점유율 18%로 전국 2위다. 국가 지정 외 각종 문화유산을 포함하면 전국 1위로, 그야말로 문화재가 '지천'(至賤)으로 깔린 곳이 바로 경북이다. 경북엔 1천 년 신라와 500년 고려의 불교문화가 꽃피었다. 또 조선의 500년 유교문화도 발흥했다. 조상이 남긴 문화유산의 혜택을 단단히 보는 셈이다.

그런데 많은 예산 확보에도 문화재 관리는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실례로 경주 남산과 선덕왕릉 인근 낭산지구, 무열왕릉과 법흥왕릉 인근 등지를 가면 이를 알 수 있다. 이곳의 주요 유물 유적지 바로 옆에는 버젓이 분묘가 들어서 있다. 불법 묘지지만 방치되고 있다. 관광객들에게 혐오감을 주고 주민들이 유적지 훼손을 우려해도 당국은 나몰라라다.

말로 하는 관리와 실제 이뤄지는 관리가 엇박자임을 알 수 있다. 그동안 얼마나 관리가 허술했고 겉핥기로 이뤄졌는지 짐작할 수 있다. 경주처럼 국내외 관광객들이 이어지는 유명 유적지의 문화재 관리가 이런 수준이니 다른 곳은 미뤄 알 만하다. 당국은 '강제 규정이 없다'는 변명뿐이다. 앞으로도 계속 남의 산소나 구경하다 가라는 이야기에 다름 아닌 배짱 관리다. 도는 예산 확보 자랑보다 문화재 관리에 좀 더 관심을 쏟아야 한다. 소중한 문화유산의 가치 보존과 창출은 그냥 이뤄지지 않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