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열린' 정부대구합동청사 테러 대비 보안 괜찮을까

지난해 10월부터 업무가 시작된 대구 달서구 대곡동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에 외부인이 신분증 확인이나 출입증도 받지 않은 채 마음대로 청사를 드나들 수 있는 등 정부청사의 보안이 허술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성일권기자 sungig@msnet.co.kr
지난해 10월부터 업무가 시작된 대구 달서구 대곡동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에 외부인이 신분증 확인이나 출입증도 받지 않은 채 마음대로 청사를 드나들 수 있는 등 정부청사의 보안이 허술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성일권기자 sungig@msnet.co.kr

지난해 10월부터 업무가 시작된 대구 달서구 대곡동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의 출입 통제가 허술하다. 최근 해외에서 벌어지는 각종 테러 소식에 정부 기관이 입주한 건물의 철저한 보안과 출입 통제가 필요한 시점이지만 정작 합동청사에 출입하는 외부인은 기본적인 신분증 확인이나 출입증도 받지 않은 채 청사를 드나들고 있다.

대구 달서구 대곡동에 위치한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의 안내데스크는 업무A동 지하 1층에 1곳, 업무B동 2층에 2곳이 있다. 기자가 18일 오후 합동청사의 업무A동 지하 1층 입구로 들어가자 안내데스크에 있던 여직원이 "어디로 가느냐"고 물어본 것 이외에 별다른 제지를 받지 않고 청사를 돌아다닐 수 있었다.

업무B동 지하 1층 주차장 입구에는 출입증 인식 시스템이 설치돼 있었지만 문이 열려진 채로 방치돼 있어 출입증 없이도 입장이 가능했다. 기자가 출입증 없이 업무B동 4층을 돌아다녔지만 출입증이 없다는 사실을 문제 삼는 직원은 아무도 없었다. 업무B동 4층에서 지하 1층 주차장 입구로 내려가면서 이용한 비상계단에는 출입증 인식 시스템이 달려 있었지만 출입증을 찍지 않고도 문이 열려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했다.

이처럼 합동청사의 출입이 제대로 통제되지 않는 탓에 외부인에 의한 사고 우려도 나온다. 실제 지난해 10월 서울 정부중앙청사 18층 교육과학기술부 사무실에 불을 지르고 투신자살한 사건이 일어난 바 있기 때문이다. 이 사고로 정부중앙청사는 올해 2월부터 신분증과 출입자의 얼굴 정보가 일치해야 출입이 가능한 '화상인식 출입시스템'을 도입했다.

하지만 입주 100일이 지난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는 재래식 출입 통제마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입주 기관 모두 민원인을 직접 상대하는 업무가 많다는 이유에서다. 합동청사에 입주한 기관은 대구지방국세청, 대구지방보훈청, 대구지방고용노동청 대구서부지청 등 총 10개 기관. 이 중 보훈청, 노동청 등에는 하루 200~300명의 민원인들이 수시로 드나든다.

여기에 방호근무자 수도 부족해 출입 통제는 더 느슨해진다는 지적. 합동청사의 출입구는 총 7곳이지만 합동청사에 배정된 방호근무자의 정원은 6명. 이마저도 주'야간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청사관리소 관계자는 "합동청사에 입주한 기관마다 민원인의 출입 통제에 대해 요구하는 바가 각각 달랐고 청사 운영의 기조가 '민원인을 위한 열린 청사'이다 보니 출입 통제 절차가 느슨한 것이 사실"이라며 "청사 전체를 24시간 동안 CCTV로 감시하고 있고 야간과 휴일에는 현금자동지급기가 있는 업무A동 지하 1층 출입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폐쇄하기 때문에 청사 안전에는 크게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이화섭기자 lhsskf@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