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내 군단위 중에서 울진군의 보건 인프라가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5만1천여 명인 울진군의 보건소 직원수는 울진에 비해 인구가 3분의1에 불과한 영양군(1만8천여 명) 보건소와 똑같은 27명이다.
또 군보건소 소재지의 읍을 제외하고 읍'면 단위에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보건지소는 울진은 9곳의 설치대상지 중 5곳에만 설치, 운영되고 있는 반면 영양은 5곳의 설치대상 모두 보건지소가 운영되고 있다.
울진군보다 인구가 6천 명이나 적은 성주군(4만5천여 명)의 보건소는 직원 숫자가 울진보다 무려 10명이나 더 많으며, 보건지소도 설치대상 9곳 모두 운영돼 울진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또 울진보다 인구가 1만3천여 명이나 적은 봉화군의 보건소는 직원 28명으로 울진보다 1명이 많고, 설치된 보건지소도 9곳으로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영덕군 역시 울진보다 인구가 1만1천 명이 적지만 보건소 직원은 오히려 3명이 더 많고 보건지소도 8곳의 설치대상 모두 운영을 하고 있다.
경북의 다른 군단위에 비해 인구가 많고 면적도 넓은 울진군의 보건 인프라가 이처럼 취약한 것은 지난 2000년 군 조직개편에 따라 보건소 기구와 인원을 대폭 감축한 후 전혀 보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진이 배치되고 건강증진실이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읍'면 단위의 보건지소는 최일선에서 주민들과 접촉하며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울진의 경우 후포와 죽변면, 북면과 근남면 등 4개면에는 아예 보건지소가 설치되지 않고 있다. 이에 반해 영양'영덕'성주'봉화군 등 다른 군에서는 해당 읍'면에 의무적으로 보건지소를 설치해 운영중이다.
울진군보건소 관계자는 "후포면 등 4개면에는 당연히 보건지소가 설치돼 고령의 노인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하지만 의료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으며, 보건 인력과 기구의 보강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