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대교수회 총장 불신임투표 재개

경북대학교 총장 직선제 존폐를 둘러싼 갈등이 또다시 고조되고 있다.

경북대교수회(이하 교수회)는 5일 총장 직선제 폐지 골자의 개정학칙을 공포한 함인석 총장에 대한 교수총투표에 돌입, 11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올해 3월에 교수회가 같은 이유로 함 총장에 대한 불신임투표를 하려다 유보한 지 9개월 만에 교수총투표 재개다.

교수회는 "총장이 개정학칙을 원점에서 재논의하겠다고 약속해 불신임투표를 유보했으나 이후 그 약속을 지키지 않아 투표를 재개한 것"이라고 밝혔다.

경북대 본부와 교수회는 그동안 국립대 총장 직선제 폐지 여부를 놓고 줄곧 대립해왔다. 진통 끝에 본부 측이 올해 2월 말 직선제 폐지에 해당하는 '총장후보자 선정에 관한 규정'을 공포하자, 교수회는 6월 교수총투표를 통해 '직선제 존치'개선'으로 맞섰다. 이후 본부와 교수회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한 '10인 협의체'까지 구성했지만 입장 차만 확인한 채 최근 결렬됐다.

교수회는 "개정학칙의 결정적인 독소조항은 학내 구성원들이 총장선거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것"이라며 "총장 불신임투표가 법률적 효력은 없지만 교수들의 총의를 확인하는 수단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교수회의 총장 불신임 투표 강행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총장 직선제를 고수할 경우 교육역량강화사업 등 각종 재정 지원 사업에서 불이익을 주겠다고 공언한 건 교육부인데, 교육부와의 관계에서 운신의 여지가 좁은 국립대 총장 개인을 겨냥하는 게 실효성이 있느냐는 것.

더욱이 올해 정부의 지방대 육성방안 발표 이후 지방대학마다 입학 정원 조정, 학과 통폐합 등 생존 전략 수립에 총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경북대는 2년째 총장 직선제 문제에 발목 잡히는 바람에 정작 추락하는 대학의 위상 및 경쟁력을 높이는 데는 에너지를 쏟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북대 본부 관계자는 "교수 등 대학 구성원들의 여론을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정학칙을 개정하자고 수차례 교수회에 제안했지만 모두 무위로 그쳤다"며 "이대로 가다가는 경북대 경영이 파국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했다.

최병고기자 cb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