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1TV 시사기획 창 '고위공직자 재취업 보고서-공생의 세계' 편이 17일 오후 10시 방송된다. 사외이사, 감사, 고문, 자문 등 퇴직 후에도 이런저런 감투로 자리를 보장받는 고위공직자들. KBS 시사기획 '창'은 최근 5년 동안 고위직 공무원들이 퇴직 후 2년 안에 사기업에 재취업하겠다며 공직자윤리위원회에 신고한 문서를 입수해, 1천203건을 심층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고위직 공무원들과 대기업 간의 공생관계를 추적해봤다.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 다니던 한 여성이 백혈병에 걸려 세상을 떠났다. 명백한 산재였지만, 역학조사를 담당했던 산업안전보건공단은 인정하지 않았고, 공단 이사장은 퇴직 후 삼성SDI 사외이사가 됐다. 군 물류사업 경험이 거의 없었던 현대글로비스는 군 출신 인사들을 영입한 뒤, 공교롭게도 주한미군기지 이전사업을 수주했다. 전체 1천203건 중, 삼성으로 재취업하겠다는 신고 건수가 106건으로 1위였고 2위는 현대차그룹, SK와 한화그룹, KT가 뒤를 이었다. 공적 성격이 있는 강원랜드는 낙하산 인사들의 천국이었다.
현대백화점 운영업체인 한무쇼핑. 이 회사 감사는 이명박정부 시절 행정관 출신이다. 공교롭게도 전임 감사도, 그 전임 감사도 모두 청와대 행정관 출신이었다. 국방부 퇴직자들은 절반이 방산업체와 건설관련 업체 등 30대 그룹에 재취업하겠다고 신고했다. 취재팀이 부처별로 30대 그룹에 재취업하는 비율을 따져본 결과, 삼성이 퇴직공무원들을 대거 영입한 고용노동부가 89%로 가장 높았고, 예상대로 국세청과 공정위, 검찰, 국정원 등 권력기관들이 뒤를 이었다. 청와대 출신은 비교적 낮은 직급 인사들도 안정된 직장으로 옮겨갔다.
한윤조기자 cgdrea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