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취수원 구미이전 민관협의회 첫 모임 팽팽한 신경전

대구 "3개월내 결론 내자"…구미 "1년간 천천히 대화"

17일 구미시 구미상하수도사업소에서 열린
17일 구미시 구미상하수도사업소에서 열린 '대구 취수원 이전 대구'구미시 민'관협의회' 회의에서 대구협의회 위원(오른쪽)들의 발언을 구미협의회 위원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경청하고 있다. 성일권 기자 sungig@msnet.co.kr

"7년간의 갈등 이제는 풀릴까?"

17일 오후 2시 경북 구미상하수도사업소 회의실.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로 갈등을 벌여온 대구시와 구미시가 민관협의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한 지 한 달 만에 첫 모임을 가졌다.

하지만 같은 자리에 모였지만 대구시와 구미시의 속내는 달라 보였다.

이날 첫 모임에는 양측에서 3명씩 불참하면서 총 14명의 위원이 모였다. 양측 위원들은 웃으며 첫 인사를 건넸다.

하지만 모임 주기를 두고 팽팽한 신경전이 벌어졌다.

결론 도출을 최대한 빨리 하자는 대구시 입장과 민감한 현안인 만큼 시간을 갖자는 구미시 입장이 서로 충돌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가 협의를 빨리 이끌어내고자 하는 이유는 명료하다. 낙동강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대구와 인근 시'군 인구가 200만 명에 이르고 있어 안전한 식수 확보가 시급한 때문이다.

국토교통부가 광역 상수도망 사업비 명목으로 최대 5천억원까지 취수원 이전비를 내려주겠다고 약속한 만큼 예산 확보 차원에서도 조속한 사업 진행이 필요한 상황이다.

김부섭 대구시 녹색환경 국장은 "안전한 식수원을 마련하는 것은 다음 세대를 위해서 중요한 일이다"며 "이번에 진전이 없으면 다시 기회가 오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구미시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해서라도 협의를 이끌어내겠다는 전략이다.

최정한 대구시 물관리 과장은 "국토부 용역 결과에 대해 '제3자를 통한 검증'도 가능하다"며 "협의회 운영에 있어서 금전적인 부분이 필요하다면 대구시에서 예산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구미시는 느긋한 자세다.

구미시 여론에 대한 정지 작업이 끝나지 않았고 대구시 요구대로 조속한 합의를 이끌어 낼 경우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정치적인 판단도 깔렸다.

구미 지역 일부 주민들은 취수원 이전이 결정되면 해당 지역의 주민 재산권이 침해될 수 있고 물 부족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협의회 운영 기간을 3개월로 하자는 대구시 주장에 구미시가 1년으로 맞서는 것도 '빨라서 좋을 것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들은 "취수원 이전 문제가 구미 지역에서 정치적 현안으로 부상할 수도 있다"며 "내년에 총선이 있고 이후에는 다시 지방선거가 있어 올해 안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영구 미제로 남을 우려가 높다"고 말했다.

노경석 기자 nk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