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값 인상에도 줄지 않는 울진군 담배 사랑

구매력 있는 원전 근로자 많아 작년 대비 되레 75% 소비 늘어

올 초 담뱃값이 2배 가까이 인상된 이후 담배 소비량이 대부분 반 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원자력발전소 주변 등 근로소득이 상대적으로 두둑한 지역에서는 담뱃값 인상이 소비 감소로 직결되지 않았다.

경북도가 지난 1월의 도내 23개 시군의 담배소비세 징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문경의 1월분 담배소비세가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72.3%나 감소하는 등 도내 23개 시군의 1월 담배소비세가 지난해 1월에 비해 평균 49.4% 줄었다.

경북도 세정과 전영구 주무관은 "담배 1갑 가격이 2천500원에서 4천500원으로 오르다 보니 체감 충격이 커지면서 구매력이 적은 계층부터 담배 소비를 크게 줄인 것"이라며 "담배에 붙는 지방세는 담뱃값 인상으로 종전 1갑당 641원에서 1천7원으로 크게 늘었는데 걷힌 세금은 오히려 줄어든 것을 보면 담뱃값 인상 충격파가 흡연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고 했다.

하지만 울진은 달랐다. 원자력발전소가 밀집해 있고, 새로운 원자력발전소 건설 현장까지 있는 울진군은 1월의 담배소비세가 지난해에 비해 74.9%나 급증했다. 원전 건설 인력이 꾸준히 늘어나는데다 구매력이 상대적으로 괜찮은 원전 근무자들이 많다 보니 담뱃값 인상이 담배 소비 감소로 이어지지 않은 것이라고 울진군은 분석했다. 울진에는 원전건설 현장 근로자만 수천 명에 이른다.

구미산단은 물론, 대구의 배후 주거지이기도 한 칠곡군도 1월 담배소비세 징수액이 소폭이지만 지난해에 비해 0.5% 늘어났다.

최경철 기자 koala@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