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간 번 유승민 "의견 충분히 수렴 후 거취 결정"

새누리 최고위 결론 못내…김무성 "당의 파국 막아야"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가 29일 경기도 평택시 평택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굳은 표정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가 29일 경기도 평택시 평택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굳은 표정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의 거취를 논의한 긴급 최고위원회가 결론을 내지 못했다.

29일 열린 최고위에서 친박(친박근혜)계 최고위원들은 유 원내대표의 자진 사퇴를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일단 유 원내대표에게 시간을 주기로 했다.

친박계의 좌장인 서청원 최고위원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유 원내대표가 최고위원들의 발언을 경청하고 '기회를 달라'고 했으니 지켜보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무성 대표는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현재 상황에 대해 최고위원 모두가 책임감을 많이 느낀다는 얘기가 주로 있었다"면서 "책임론과 관련해 최고위원 모두 각자의 의견을 충분히 많이 얘기했다"고 전했다.

이어 김 대표는 "당 대표로서 어떤 경우라도 당의 파국은 막아야 한다. 내게 그런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유 원내대표는 "최고위원들 말씀을 잘 들었다. 내가 '경청을 했고 생각해 보겠다' 이렇게 말씀드렸다"며 "(당내 의원들의 의견을) 더 들어봐야 한다"고 말했다. 시간을 갖고 당내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뒤 자신의 거취에 대한 입장을 정리해 밝히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제 공은 유 원내대표의 판단으로 넘어왔다. 유 원내대표가 사퇴 불가피성을 인식하고 출구를 찾는 수순을 생각하는지, 비박(비박근혜)계의 사퇴 불가 여론을 등에 업고 버티는 방안까지도 열어두고 있는지는 미지수다.

유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가 끝난 후에도 "고민하겠다"는 말만 되풀이했을 뿐 입을 닫았다. 유 원내대표로서는 자칫 지금 당장 사퇴한다면 박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대로 '배신자'라는 오명을 쓰게 되거나, 심한 경우 정치 생명이 끊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즉각 원내대표직을 내놓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일각에서는 국회법 개정안을 재상정한 뒤 부결되거나 또는 본회의 성립 요건이 안 돼 무산되는 순간 유 원내대표가 전격 사퇴를 선언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때는 등 떠밀려 나가는 게 아니라 애초 가결 처리됐던 국회법 개정안이 뒤집히는 것이어서 정치적 타격을 그나마 최소화하면서 물러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유 원내대표가 자신의 거취가 더는 개인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당과 국가, 정치 발전의 대의명분이 걸린 문제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어 사퇴 쪽으로 입장을 번복하기는 쉽지 않다고 측근들은 전하고 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29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애초 예상과 달리 새누리당이나 유승민 원내대표에 대한 언급 없이 경제활성화와 민생 챙기기에 주력했다. 이는 시급한 경제 살리기와 민생 챙기기보다는 '정쟁'의 한복판에 서 있다는 곱지 않은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당청 관계의 파국을 막기 위한 특단의 해법을 이제는 당에서 알아서 하라는 박 대통령의 무언의 압박으로 보인다"고 했다.

최두성 기자 dschoi@msnet.co.kr

유광준 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