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다가 멈추는 경우가 종종 있다. '도대체 무슨 말이야?' 투덜거리며 방금 읽었던 문장 처음으로 눈길을 돌린다. 손가락으로 집어가며 꼼꼼히 읽지만, 도대체 감을 잡을 수 없다.
"휴! 한 문장이 도대체 몇 줄이야?"
투덜거리며 연필을 손에 쥐었다. 긴 문장을 짧게 자르기 위해서였다. 이렇게 하고 나면 숨어있던 단어들이 하나 둘 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책을 읽으며 간간이 부딪히는 쓰라린 경험이다. 책과 '친하지 않은' 몇몇 사람들의 개인적인 문제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은 자격지심(自激之心) 때문에 생긴 오해에 불과하다. 엄밀히 따져보면, 잘못은 글을 쓴 작가에게 있다. 쉽게 쓸 수 있는 글을 어렵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글의 목적은 전달, 즉 커뮤니케이션이 아닌가? 이런 실수를 피하는 요긴한 방법 하나가 있다. 바로 짧은 문장 쓰기이다.
▶짧은 문장의 좋은 점
① 간결하므로 한 번만 읽어도 무슨 뜻인지 쉽게 알 수 있다. 앞으로 돌아가 다시 읽고, 문장을 쪼개 분석하는 불필요한 과정이 사라진다. 잘 쓴 문장을 분석해보면 대부분 25자 안팎이라는 사실을 꼭 기억하자.
② 바른 문장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짧은 문장은 일반적으로 주어·서술어·목적어·보어로 간단하게 만들어진다. 그 결과 문장은 물 흘러가듯 자연스럽게 읽힌다. 복잡하고 긴 문장이 읽기 힘든 이유 중 하나는 문장이 틀렸기 때문이다. 복잡하게 길어지다 보면 문장은 이상하게 바뀔 수도 있다.
▶짧은 문장을 만들 때 주의 사항
① 짧게 쓰라고 하면 쓸데없이 칼질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 꼭 필요한 문장성분 또는 조사를 지우면 안 된다. 과도한 생략은 문장을 더 어렵고 힘들게 만들 뿐이다.
② '줄임말'과 초성으로 만든 문장(?)도 문제가 있다. 예) 깜놀, 훈남, 엄친아, ㄱㄱ , ㅠㅠ 등. 이런 말은 유행의 흐름일 뿐이다. 바른 글쓰기를 익히기 전, 이런 말을 배우는 것은 좋지 않다. 이번 시간에는 짧은 문장의 좋은 점과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 시간에는 짧은 문장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