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은 16일 엘리베이터 문틈에 손가락이 끼는 사고가 만 1세 유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며 주의를 요구했다.
소비자원이 2012∼2015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엘리베이터 관련 위해사례 648건을 분석한 결과 380건(58.6%)이 엘리베이터 문이 열릴 때 문과 문설주 사이의 틈새에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였다.
연령별로 이 사고는 1세 유아에서 192건이 발생해 전체의 50.5%를 차지했고 이어 2세 86건(22.6%), 3세 37건(9.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손가락 끼임 사고를 6세 이하로 집계하면 총 351건으로 전체의 92.4%에 이른다.
소비자원이 키즈카페나 소아과 등 서울 시내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60대를 조사한 결과 58대가 문틈 허용기준인 10㎜ 이내로 조사돼 대부분 기준을 충족했다. 그러나 5세 어린이와 같은 모형 손을 이용해 실험한 결과 문틈이 5㎜ 이상 벌어지면 유아의 손가락 끼임 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나 현행 기준만으로는 사고를 막기에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엘리베이터의 사고 주의표시도 170㎝ 이상 높이에 설치돼 유아의 눈높이에서 이를 보기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유아의 손가락 등을 감지하고 엘리베이터의 문 열림을 정지시키는 감지장치가 설치된 곳도 없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조국혁신당 '창립멤버' 은우근 탈당…"성 비위 피해자에 공격 멈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