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경련 어버이연합 지원, 더민주 국회차원의 진상조사 나서겠다

JTBC캡쳐
JTBC캡쳐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어버이연합 등 보수단체의 자금줄 역할을 했다는 의혹이 갈수록 일파만파 번지고 있다. JTBC는 18일 뉴스룸을 통해 재향경우회 명의로 1년여간 2천여 만원이 입금된 탈북단체 계좌를 공개하며 "누군가가 타인의 이름을 빌려 어버이연합과 같은 자칭 보수단체를 지원하고 있다"며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또 19일에는 "전경련이 어버이연합 등 보수단체에 인건비를 주고 탈북자를 동원해 시위에 가담시켰다"고 보도했다. 이날 방송에서는 "교통비도 안 주고 누가 거기 가서 그런 일 하겠냐"는 탈북단체 관계자의 인터뷰도 함께 방송을 탔다.

전경련은 우리나라 대기업들이 회원으로 모여 국내 경제의 국제화 촉진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경제 단체다. 퇴직 경찰들의 모임인 경우회 역시 같은 수법으로 보수 단체를 지원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19일 공개된 '기독교선교복지재단' 2014년 재단 계좌 입출금 내역에 따르면 해당 계좌에는 전경련이 2014년 9월 4000만원을 입금했고, 그 해 11월과 12월 등 세 차례에 걸쳐 총 1억2000만원을 송금한 것으로 나와 있다. 이 계좌는 대한민국어버이연합 추선희 사무총장의 차명계좌로 알려졌다.

JTBC의 보도가 잇따르자 국회 제 1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은 국정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이재경 더민주 대변인은 20일 오전 "의혹이 사실이라면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주권자인 국민의 권리 행사를 가로막는 범죄행위로, 그 뿌리를 철저하게 파헤쳐 발본색원해야 한다"며 "더불어민주당은 어버이연합 등의 탈북자 집회 알바 동원 및 전경련, 경우회의 자금 지원 의혹에 대해서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에 나설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전경련은 대한민국 경제를 좌우하는 대기업들의 모임이다. 그런 전경련이 이들 단체에 자금을 대줬다면 이는 명백한 정치 개입이 아닐 수 없다"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또 경우회에 대해서도 "대한민국 재향경우회법에 따라 정치활동을 할 수 없음에도 탈북자들을 알바로 동원해 관변성 집회를 열도록 보수단체에 자금을 지원한 것은 심각한 불법이 아닐 수 없다"면서 "정부는 경우회에 민간경상보조사업을 위탁하는 것은 물론이고 전국 경찰서마다 사무공간과 운영비 등을 지원하고 있어 사실상 정부의 돈으로 불법적인 정치 개입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결코 묵과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시민단체인 경제정의실천시민연대(이하 경실련) 역시 20일 성명을 내고 "보수단체를 이용한 국론 분열 조장 행위를 규명해야 한다"며 전경련의 해체를 요구했다.

경실련은 "세월호 진상규명 반대, 위안부 할머니에 대한 막말, 친정부 성격의 집회와 반대세력에 대한 '종북낙인찍기' 등 극단적 언행과 이념조장에 앞장선 어버이연합 활동에 억대의 돈을 지원한 전경련의 행태에 경악을 금할 수 없다"며 "이처럼 흘러간 돈이 집회·시위에 탈북자단체를 가담시키는 인건비로 활용됐다는 정황이 드러난 만큼 명명백백한 진실규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경련은 "기부활동을 했을 뿐 자금이 어버이연합으로 갔는 지는 알 수 없다"고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