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세먼지 주의보 해제됐지만, 25일도 공기질 나빠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올해 최악의 황사가 미세먼지가 주말과 휴일 한반도를 뒤덮었다. 성일권 기자 sungig@msnet.co.kr
올해 최악의 황사가 미세먼지가 주말과 휴일 한반도를 뒤덮었다. 성일권 기자 sungig@msnet.co.kr

올해 최악의 황사가 미세먼지가 주말과 휴일 한반도를 뒤덮은 가운데, 25일도 전국적으로 미세먼지가 가득할 전망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5일에도 전국적으로 '나쁨' 수준의 미세먼지 농도가 예상된다고 예보했다.

24일 기상청에 따르면 황사와 안정된 대기의 영향으로 23일 미세먼지(PM-10) 일평균 농도는 대전과 제주를 제외하고 전국이 매우 나쁨(151㎎/㎥ 이상) 수준을 기록했다.

대구(206㎎/㎥), 인천(209㎎/㎥), 경기(201㎎/㎥), 충남(213㎎/㎥) 등은 일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200㎎/㎥이 넘었으며, 서울은 198㎎/㎥로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0일 몽골과 내몽골 고원에서 발원한 황사는 올해 5번째 발생한 것으로, 22일 오후 5시 백령도 등 서해 5도에서 관측되기 시작해 같은 날 밤 서울'경기 등 중부와 남부를 차례로 뒤덮었다.

대기가 따뜻하게 데워진 데다 안정돼 있어 황사는 한반도 상공에서 이틀간 머물다가 24일 오전 서쪽 지방부터 조금씩 사라지기 시작했다.

대구시는 23일 오전 7시 미세먼지 주의보를 발령한 뒤 같은날 오전 9시 경보로 상향 조정 했다가, 오후 7시 주의보로 낮췄다.

이후 대구 전역에 내려져 있던 미세먼지 주의보는24일 오후 3시를 기해 해제됐다.

대구는 24일 오후 5시 현재 미세먼지(PM10) 농도가시간당 평균 84㎍/㎥로 주의보 해제 기준(100㎍/㎥)을 밑돌면서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대구시는 미세먼지 농도가 시간당 평균 150㎍/㎥ 이상 상태로 2시간 동안 지속하면 주의보를, 300㎍/㎥ 이상으로 2시간 동안 지속하면 경보를 각각 내린다.

중부지방의 황사는 대기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흐르면서 조금씩 옅어졌지만, 한반도에서 200∼300㎞ 떨어진 서해 위에 일부가 여전히 머물고 있다.

이 때문에 완전히 황사가 걷혔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바람의 방향이 바뀌면 언제라도 수도권에 황사가 나타날 수 있다.

중부지방과 달리 남부지방은 이런 기류의 영향을 적게 받아 아직도 황사가 관측되고 있다.

기상청은"기류는 예측하기 어려워서 내일이라도 당장 서해 위의 황사가 수도권 상공으로 밀려올 가능성도 있다"면서 "황사가 나타나면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외출 때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