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여당의 참패로 귀결된 4'13 총선에 대한 민심이 '박근혜정부의 국정운영 기조' '새누리당 공천과정의 오만함' 등에 대한 비판으로 표출되고 있는 가운데 박 대통령의 총선 결과에 대한 인식이 민의와는 크게 상반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서울지역 언론사 편집'보도국장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밝힌 박 대통령의 총선결과에 대한 인식은 ▷경제살리기에 발목 잡은 국회에 대한 심판 ▷대통령과 상관 없는 선거 마케팅 등 2가지로 요약된다.
박 대통령은 우선 박근혜정부의 국정운영 방식에 대한 심판이란 총선 결과에 대해 전혀 동의하지 않았고, 오히려 '민의에 의한 국회심판'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대통령이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국회와의 관계에서 되는 것도 없고, 식물국회로 쭉 갔다" "민의가 식물국회에 대한 변화와 개혁을 위해 양당체제를 3당 체제로 만들어준 것"이란 표현에서 박 대통령의 인식을 엿볼 수 있다.
박 대통령은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에 대한 심판이라는 견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국정운영 방식에 대한 언급은 단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이건 꼭 좀 해야만 경제를 살릴 수 있겠다' '호소도 하고 국회를 찾아가기도 하고, 초청해서 말씀도 나눠보고 그래도 뭔가 되는 게 없이…'"라며 대통령은 할 만큼 했지만, 국회가 전혀 협조를 해주지 않아 경제정책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점을 되풀이했다. 정부 여당의 경제정책 실패와 소통 부재에 대한 지적에 대해 모두 국회 탓이라며 떠넘기기를 한 셈이다.
박 대통령은 친박과 관련해서도 자신과 무관함을 강조하면서 총선 공천과정에서의 청와대 개입설을 일축했다.
박 대통령은 '친박에 매몰된 정파적 공천에 대한 새누리당 지지층 이탈'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대해 "내가 (친박을) 만든 적이 없다"면서 자신과의 무관함을 내세움으로써 총선 결과에 대한 청와대 책임론도 피해갔다.
박 대통령은 "친박이라는 말 자체가 특히 선거 때 (후보들이) 자기의 선거 마케팅으로 그렇게 만들어서 '친박'이라고 그랬다가, '탈박'이라고 그랬다가, '짤박'이라고 그랬다가 별별 이야기를 다 만들어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가 거기(친박 공천)에 관여하지도 않았다"면서 청와대와 새누리당 공천 연관성을 부인했다. 박 대통령이 이날 언론인들과의 만남을 통해 총선 이후 싸늘해진 민심을 청취하기 위해 첫 소통에 나섰지만, 총선 결과에 대한 정부의 국정운영 기조나 경제정책 등에 대한 심판론을 전면 부정함으로써 향후 국정운영에서 악화된 민심을 되돌릴 수 있을지 여부가 주목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