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최근 지방재정위기 주의등급단체에서 벗어났다. 재정위기단체 지정 9개월 만이다. 지속적이고 강도 높은 재정건전화 및 채무 관리 노력에 따른 결과다. 올해 1분기 부채는 1조6천78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조8천461억원보다 1천677억원 감소, 채무비율을 28.8%에서 23.2%로 5.6%p 낮췄다.
◆재정위기단체 지정 왜?
대구시는 지난해 7월 예산대비 채무비율이 25%를 초과해 부산, 인천, 태백시와 함께 행정자치부로부터 지방재정위기 주의등급단체로 지정됐다. 지난해 1분기 기준 채무비율이 부산 28.1%, 대구 28.8%, 인천 39.9%, 태백 34.4%였다.
당시 재정위기단체로 지정되자 대구시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도시철도 건설사업 등으로 많아진 채무를 줄이기 위해 뼈를 깎는 노력으로 지속적으로 부채를 상환해왔고, 지난해 행정자치부 재정위기 기준 이하로 떨어뜨릴 수 있었는데 갑작스러운 발표로 마치 대구시가 살림을 잘못 산 것처럼 돼 버렸기 때문이다. 실제 대구시의 예산 대비 채무비율은 2009년 38.2%에서 2010년 37.7%, 2011년 35.8%, 2012년 32.6%, 2013년 28.1%, 2014년 28.2%로 계속 줄어들었고, 지난해 말 기준으로 22.6%까지 떨어뜨렸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난해 말 추경 편성을 통해 채무를 추가 상환하면 채무비율을 25% 이하로 떨어뜨릴 수 있었는데 그 직전에 지정'통보돼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재정위기관리제도는 채무, 금고 잔액, 공기업 부채 등 재정지표가 기준을 벗어난 자치단체를 재정위기 단체로 지정하고, 자구 노력을 요구하는 제도다. 예산 대비 채무비율이 25%가 넘으면 해당 자치단체를 주의 단체로, 40%가 넘으면 심각 단체(재정위기단체)로 지정할 수 있다.
◆어떻게 탈출했나
대구시는 재정위기단체 조기 탈출을 위해 재정건전화 및 채무관리에 힘을 쏟아부었다. 연평균 600억원, 5년간 총 3천억원의 채무를 감축하는 강도 높은 채무관리계획(2015~2020년)을 수립하고, 채무 감축에 적극 나섰다. 특히 지난해 발생한 순세계잉여금 1천553억원을 채무 조기상환에 투입, 2015년 1분기 대비 채무잔액을 1천677억원 감축하고, 채무비율을 5.6%p 낮췄다.
대구시의 채무 감축 노력은 비단 최근뿐 아니라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에 2005년 말 2조8천442억원이던 채무를 지난해 말 기준으로 2조344억원까지 줄일 수 있었다. 2005년(3조3천725억원)에 비해 2015년 최종예산액(7조6천171억원)이 2배 이상 증가했음에도 채무는 늘지 않고 오히려 감축돼 더욱 고무적이었다. 특히 2005년 70%에 육박하던 예산대비 채무 비율이 2015년 말 기준 22.6%까지 뚝 떨어졌다.
김종근 대구시 예산담당관은 "대구시의 재정건전화 성과는 채무감축뿐만 아니라 지역발전 및 시민복리를 위한 투자사업과 병행하는 가운데 이루어낸 대구형 채무관리 모델이어서 '성장'과 '안정'을 모두 실현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채무 내용도 건전
대구시 채무는 규모가 줄었을 뿐 아니라 내용 또한 건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단기적이고 인기영합의 선심성 사업을 위한 채무가 아닌 대부분 도시철도 3호선, 사통팔달 도로망 등 SOC 사업 분야 및 시민 복리를 위한 투자사업으로 채무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또 첨단산업단지 등 성장잠재력이 있는 신산업과 시민 복리를 위한 문화시설 및 체육시설, 공원시설 개발에도 과감하게 투자했다.
다른 시'도와 비교해도 대구시 채무의 건전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2011~2015년까지 최근 5년간 채무 잔액을 살펴보면 대구의 감소 규모가 가장 크다. 서울, 인천, 광주, 대전은 이 기간 동안 채무 잔액이 증가했지만 대구와 부산, 울산은 감소했는데, 대구의 감소액은 2천814억원으로 부산(1천815억원), 울산(565억원)을 압도했다. 예산 대비 채무비율도 대구가 가장 많이 줄었는데, 2015년 말 채무비율이 2011년 말 대비 13.19%p 감소해 다른 시도에 비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앞으로의 채무 관리는
대구지역에 대한 투자를 위축시키지 않으면서도 채무를 지속적으로 감축한다는 게 시의 계획이다. 시는 이를 위해 해마다 5개년 채무관리계획을 수립해 상환액 대비 발행액을 축소했고, 순세계잉여금 30% 이상을 기금으로 적립, 지방채 상환을 위한 재원을 마련하고 있다. 또 투자 우선순위에 따라 지방채를 발행하되 신규발행을 최대한 억제하는 한편 전시성'행사성 사업은 엄격히 통제하고, 경상경비를 삭감하는 등 긴축재정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의 재정건전화 전망도 밝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16년도 채무관리계획에 따르면, 2018년까지 채무비율을 10%대로 낮추고, 2020년까지 3천억원의 채무를 추가로 감축할 계획이다. 도시철도 등 대규모 SOC 사업이 마무리 돼 단기적으로 재정압박 요인이 적고, 지방채상환기금을 통해 채무상환에 필요한 재원을 충분히 확보하면 계획대로 채무를 줄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신성장 동력 산업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업에 투자를 적극적으로 하면서도 채무 감축을 통해 재정건전성을 높여 행정자치부 및 다른 시'도가 주목하고 벤치마킹하는 대구형 채무관리 모델을 확고히 정착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