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추석 성묘 등으로 바깥나들이를 할 때 쓰쓰가무시증에 걸리지 않도록 진드기를 피해야 한다고 3일 당부했다.
쓰쓰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고열, 오한, 근육통, 큰 딱지(가피), 발진 등의 증상이 특징이다.
야외 활동이 많은 8월 중순∼10월 초에 진드기에 물리면 1∼3주 정도 잠복기를 지나 발병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에 따라 9월부터 환자 수가 증가하기 시작해 9∼11월에 연중 환자의 90% 이상이 집중된다.
환자 수는 2011년 5천여 명 정도였으나 2012년에 8천604건으로 늘었고 2013년에는 1만365명으로 1만 명을 돌파했다. 2014년에도 8천130명, 2015년에도 9천513명이 쓰쓰가무시증을 앓았다.
최근 5년간 쓰쓰가무시증으로 사망한 사람은 62명이다. 지난해에만 11명이 이 질병으로 사망했다.'
질병관리본부는 활순털진드기, 대잎털진드기 등 매개진드기들의 서식지가 남서부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어 환자 발생도 증가 추세라고 설명했다.
쓰쓰가무시증에 걸리지 않으려면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상책이다.
털진드기 유충이 활동하는 시기(9∼11월)에는 야외에서 돗자리를 사용하고 풀밭 위에서는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아야 한다.
산책로나 등산로 등 지정된 경로 외에는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고 풀밭에서 용변을 보지 않아야 한다.
야외 활동 후에는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해야 한다.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등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확인하고 목욕, 샤워를 하는 것도 진드기 예방에 도움이 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