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에는 허리에 통증을 느끼기 쉽다. 기온이 떨어지면서 근육과 인대가 굳기 때문이다. 또 잔뜩 움츠러든 자세는 허리에 부담을 줘 척추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디스크질환은 추간판탈출증과 척추관협착증이 대표적이다. 두 질환 모두 허리가 아프면서 다리가 당기거나 저리는 느낌이 드는 게 특징이다.
추간판탈출증은 척추뼈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추간판(디스크)이 퇴행성 변화나 충격으로 중심부가 신경 쪽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말한다. 추간판은 물이 차 있는 풍선과 비슷하다. 안에는 물과 비슷한 수핵이 있고, 겉은 고무처럼 탄력적이고 질긴 섬유조직이 감싸고 있다.
추간판이 강한 충격이나 잘못된 생활습관, 퇴행성 변화 등으로 중심 부분이 밖으로 탈출하게 되면 신경을 자극하고, 염증성 반응을 일으켜 근육 통증 및 신경 증상이 일어난다. 허리통증과 함께 엉덩이나 다리 부위에 방사통증이라 불리는 당김, 저림, 감각 둔화 등의 증상들이 나타나는 게 특징이다. 추간판탈출증은 초기에 치료하면 빠르게 통증을 줄일 수 있지만, 방치하면 증상이 심해지고 일상생활에 장애를 겪는다. 심하면 대'소변 기능 장애 및 하지 마비까지 올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통과하는 척추관이 각종 퇴행성 변화로 인해 좁아지면서 점차 신경을 압박해 통증과 무력감을 겪는 질환이다. 허리 통증보다는 엉덩이와 허벅지, 종아리 등 하반신 쪽으로 당기거나 저리는 증상과 무력감 등이 나타난다.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줄기 때문에 자주 쪼그려 앉아서 쉬거나 허리가 앞으로 굽게 된다.
추간판탈출증과 척추관협착증은 통증을 심하게 느끼는 자세도 차이가 난다. 추간판탈출증은 허리를 숙였을 때 통증이 심해진다. 이 때문에 신발을 신거나 머리를 감을 때 심한 통증을 겪고, 하지 통증과 저림이 꾸준히 나타난다.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지고 주로 걸을 때 불편을 느낀다. 그러나 증상 만으로 질환을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며 X-선이나 자기공명영상(MRI) 등 영상의학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추간판탈출증과 척추관협착증은 1차적으로 비수술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두 질환은 대부분 염증성 변화 때문에 통증이 생기므로, 보존적인 치료를 통해 개선할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비뚤어진 척추를 손으로 밀고 당겨서 바르게 교정하는 추나치료와 한약재의 원료를 추출, 정제해 환부에 주사하는 약침, 염증을 제거하고 근육, 인대를 강화시키는 한약 등으로 치료한다.
치료와 함께 평소 올바른 자세와 휴식으로 허리에 부담을 줄이고, 무거운 물건을 드는 행동이나 허리를 지나치게 숙이거나 젖히는 자세는 피해야 한다. 50분 동안 앉아 있었다면 5분 동안 일어나 허리를 움직이는 '505'법칙은 근육 이완에 도움이 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