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초등학교 운동회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차전놀이와 놋다리밟기였다. 남자아이들의 차전놀이와 여자아이들의 놋다리밟기는 그래서 연습도 많았다. 누가 동채에 오르는 대장이 되는지, 놋다리를 거니는 공주가 되는지도 관심사였다. '인생사의 족적이 될 것'이라 여길 정도로 그 나이 때는 대단한 것이었기에.
◆공주가 주인공이라고?
안동놋다리밟기가 경상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건 1984년이다. 예능보유자 김경희 씨는 2004년 지정됐다. 1956년생으로 무형문화재 중 어린 편에 속한다.
김 씨는 공주 역할로 무형문화재에 지정됐다. 하지만 정작 공주 역할보다 놋다리 역할을 훨씬 더 많이 했다. 공주가 잘 걸어가려면 균형 감각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길이 튼튼해야 하기 때문이다. 김 씨는 "내 임무는 공주를 맡은 이를 지도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놋다리밟기의 주인공은 공주가 아니다. 단지 놋다리밟기 시연의 역할 중 하나"라고 했다. 민속놀이 행사 때 시연을 보이는 무리를 분석하면 공주 1명, 공주를 보좌하며 놋다리를 고르는 시녀가 6명, 그리고 놋다리가 35~40명이다.
1984년 놋다리밟기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됐을 때 가장 많이 알고 있었던 사람은 김순념(2002년 작고) 할머니였다. 현재 보유자인 김 씨는 당시 28살로 안동에서 전통무용 강사를 하고 있었다. 김 씨는 전수자 신분으로 놋다리밟기와 인연을 맺었다. 당시에는 무형문화재에 대해 잘 몰랐다고 했다. 김 씨는 "내가 해야지 해서 시작한 건 아니다. 전통무용을 하니까 주변에서 추천한 거였다. 1989년 조교가 됐다. 2004년 무형문화재로 지정받았으니 입문 이후 20년 만에 보유자가 된 거다. 운이 좋았다"고 했다.
◆놋다리밟기도 한판 붙는다
김 씨가 놋다리밟기를 처음 접한 건 고등학교 때였다. 김 씨는 "안동 민속축제 때마다 놋다리밟기를 볼 수 있었다. 경안여상과 안동여고가 격년으로 시연했다. 경안여상이 지금 놋다리밟기의 모태가 되는 성밖놋다리, 안동여고는 공주가 1명인 성안놋다리를 보여줬다"고 했다.
성안놋다리는 안동역에서 웅부공원을 거쳐 안동보건소까지 이어지는 꽤 긴 거리였다. 시작과 끝이 있다. 성밖놋다리는 두 공주가 중간에서 만나 한판 붙는다. 육박전은 아니다. 공주는 균형을 잡고 있다. 놋다리들이 움직여 다리가 무너지면 지는 거다. 30분 남짓 걸린다. 학교 운동회 때 보던 다다닥 뛰는 놋다리밟기가 아니다. 공주는 '절대로' 뛰지 않는다.
공주 역할은 대체로 가볍고 작은 사람이 한다. 매년 4월 넷째 주 토요일 안동 웅부공원에서 '노국공주 선발대회'를 연다. 초등학생들이 주로 나선다. 30명 남짓 참가한다. 김 씨는 "걸음걸이, 민속퀴즈, 장기자랑 등으로 평가한다. 아이들에게 추억을 심어주려는 목적으로 여는 행사로 자리매김했다"고 설명했다.
◆소소한 역할이란 없다
사실 놋다리밟기에는 교본, 즉 매뉴얼이 없다. 상당수 예능 무형문화재가 그렇듯 실기가 곧 교본이었다. 김 씨는 "기록으로 남지 않은 것들이 많아 아쉽다. 앞으로는 남겨야 한다. 이건 내 의무다"라고 했다.
김 씨는 놋다리밟기의 원형을 유지하기 위해 힘쓸 것이라고 했다. 특히 김순념 할머니의 노래를 재현하는 데 전력을 쏟고 있다. 악보도 없는 노래를 30분 가까이 불러야 하기에 연습 외엔 답도 없다는 것이다. 인터뷰 중간에 청해 들어본 노래는 주술요 같기도, 민요 같기도 했다. 실 풀기 때 부른다는 노래는 동요 같기도 했다. 어느 것 하나 해석이 되지 않았다는 게 공통점이었다. 왜 악보로, 기록으로 남기고자 하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놋다리밟기를 통해 알게 된 지혜를 전해달라고 했다. 김 씨는 "놋다리밟기에 소소한 역할은 없다. 제각기 역할이 있는데 하나라도 허술해지면 와르르 무너진다. 놋다리 역할을 맡아 엎드려 있다고 무시할 게 아니다. 놋다리가 없으면 공주도 없다. 놋다리밟기에 참여하는 이들은 모두 안동문화 전수의 자부심이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6월 18일"
권성동 "김문수, 알량한 후보자리 지키려 회견…한심한 모습"
김문수-지도부, 단일화 사분오열…국힘, 대선 포기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