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시바(東芝)가 2015년 회계부정 발각 뒤 추진하던 선택과 집중을 통한 자력 재건책이 붕괴함에 따라 반도체 분사 등을 추진하며 사실상 해체 수순에 돌입했다.
20일 아사히'요미우리'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도시바는 애초 5천억엔(약 5조1천157억원) 정도일 것으로 예측됐던 미국 원전사업 손실이 최대 7천억엔(약 7조1천620억원)으로 불어나며 채무 초과 위기가 우려되자 자금 확보를 서두르고 있다.
오는 3월 말 끝나는 2016 회계연도 결산에서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는 '채무 초과'에 빠지면 증시 2부 강등 가능성을 포함한 엄청난 불이익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주력 산업인 반도체사업 분사를 통해 2천억~3천억엔, 다른 알짜 부문 매각으로 추가로 3천억엔가량을 확보하려고 하는 등 물불을 안 가린다. 돈이 되면 뭐든 팔아치우려고 서두른다.
시간이 없다는 점도 도시바에는 부담이다. 회계연도 결산까지 남은 두 달간 자본을 확충해야 하지만, 반도체 분사를 결정할 임시주주총회 등 통상적인 절차에만 2, 3개월이 걸린다.
인수 상대방이 이런 사정을 간파하고 가격을 후려칠 수도 있다. 따라서 매각 작업이 도시바의 의도대로 추진될지는 불분명하다. 회계연도 말까지 도시바가 자금 확보나 몸집 줄이기를 끝내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다급해진 도시바는 정부나 거래은행에도 손을 벌리고 있다.
그런데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 일본정책투자은행을 관할하는 정부도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새 대통령 시대 대응책 마련에 바쁘다. 주거래은행인 미쓰이스미토모은행과 다른 은행 사이의 공조도 삐걱거린다.
도시바의 주거래은행 미쓰이스미토모은행의 구니베 다케시 행장은 19일 "가능하면 지원해 갈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다른 은행들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될 수 있다"며 꺼리는 분위기다.
미국 원전사업에서 발생한 7조원 규모의 거액 손실 문제가 1939년 설립된 일본의 간판급 기업 도시바를 해체 수순에 돌입하는 지경으로 몰아가고 있는 셈이라고 요미우리는 진단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