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살(1973년생)인 저는 올가을 무렵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무형이든 유형이든 제 자취가 남겠지만 아쉬움이 남는 것은 어쩔 수 없나 봅니다. 많은 이들이 제가 가고 남은 자리를 역사의 현장으로 보존하자는 의견을 내고 있어 그나마 위로가 되기는 합니다.
지난 세월 저는 앞만 보며 달렸습니다. '민족의 피'(대일청구권자금)로 만들어졌다는 사명감과 절박감 때문이겠지요. 저는 우리나라 철강산업의 산 역사이면서 견인차 역할을 했던 '포스코 포항제철소 1고로'입니다.
사람으로 치면 100세가 훌쩍 넘은 나이지만 여전히 젊은이처럼 쇳물을 생산해내고 있습니다. 질 좋은 철강석과 코크스를 먹고 쇳물과 슬래그를 잘 배출시키며 건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올 하반기 5살 어린 동생 3고로가 2차 개수공사를 마치면 제 몸은 불을 끄는 '종풍'을 맞게 됩니다. 현역에서 물러나지만 포항제철소 역사의 상징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을 겁니다.
오죽하면 제 별명이 '경제 국보 1호'이겠습니까. 제가 떠난다고 실망하지 마세요. 어쩌면 내년쯤 역사적 상징성을 담은 새로운 모습으로 여러분들을 다시 만날 수도 있으니까요.
끝으로 소회를 밝히자면, 저와 함께 땀 흘린 수많은 동료들의 퇴임사를 발췌해 대신하겠습니다. "제가 떠난다고 용광로는 식지 않습니다. 열심히 일할 수 있어 행복했습니다. 어려웠던 우리 경제의 질곡 같은 여정을 오롯이 걸었다는 것을 영광으로 삼겠습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