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26일 총리공관 앞에서 특검 연장 수용을 촉구하며 농성에 돌입한 심상정 정의당 대표와 의원단에게 "언제 특검 연장과 관련한 입장 표명을 할지 심사숙고 중이다"고 말했다.
이는 금명간 입장 발표가 있을 것이라는 발언으로 읽히는데, 특검 종료를 하루 앞둔 27일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황 권한대행은 일찌감치 특검 연장 요청을 받았으나 지금까지 "면밀히 검토 중"이라며 뚜렷한 입장 표명을 자제한 채 입을 굳게 다물어왔다.
황 권한대행은 심 대표 등에게 "여러 사람의 의견을 취합하는 상태다"면서 여전히 특검 연장에 대해 결론을 내지 못했음을 전했다.
황 권한대행으로선 신중에 신중을 기하겠다는 의도이지만, 어느 쪽이든 선뜻 선택할 수 없는 처지 또한 '함구'의 시간을 길게 가져온 이유가 됐다.
수사기간 연장을 놓고 보수와 진보진영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보수의 아이콘'으로 여겨지는 황 권한대행이 연장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황 권한대행이 수사기간 연장을 승인했다가는 보수진영으로부터 '배신자'라는 낙인이 찍힐 수도 있다. 여기에 자신을 국무총리로 임명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 수사기간을 연장하도록 결정을 내리는 게 도의적으로 부담스러울 것으로 관측된다.
그렇다고 거부를 할 경우 야권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힐 게 뻔하다. 이 경우 이후 국정 운영과정에서 야권과의 협치는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무엇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특검을 연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압도적인 상황에서 황 권한대행이 이를 거부하면 진실규명을 가로막은 '장본인'이라는 비판에 휩싸일 수 있다. 물론 보수진영의 지지를 더 공고히 다질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결국 어느 쪽을 선택하든 황 권한대행에겐 득과 실이 있는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