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청와대가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계정을 모두 삭제해 논란이 일고 있다.
13일 청와대의공식 트위터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계정이 모두 삭제돼 현재 접속되지 않고 있으며, 공식 블로그는 '비공개'로 전환된 상태다. 트위터와 페이스북에는"죄송합니다, 이 페이지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혹은 "현재 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는 문구만 뜨고 있다. 공식 네이버 블로그와 유튜브 채널의 모든 글과 영상 자료도 삭제됐다.
지난 2010년 개설된 청와대의 트위터와 페이스북 계정에는 8년 간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의 정부의 소식이 담겨 있다.
SNS계정 삭제 소식이 알려지자 박 전 대통령이 마치 청와대 공식 계정을 개인의 사유물로 여긴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불거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통령 기록물 삭제'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현행 대통령기록물관리법은 자료의 이관이나 삭제를 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반면에 박근혜 전 대통령의 개인 공식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그대로 살아있다.
김광진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청와대 트위터는 박근혜의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 청와대의 것"이라며 "이런 정도의 인식도 없는 집단이 과연 국가기밀 문서나 대통령 기록물을 정상적으로 관리하고 인계하고 있을지 걱정"이라고 꼬집었다. .
발빠르게 삭제된 SNS계정과는 달리, 청와대 공식 홈페이지에는 아직까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얼굴과 인사말이 그대로 걸려있는 상태다. 첫 화면에는 박 전 대통령의 모습과 함께 "저희는 국회와 국민의 목소리를 엄중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지금의 혼란이 잘 마무리되기를 진심으로 바라고 있습니다. 앞으로 헌법과 법률이 정한 절차에 따라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과 특검의 수사에 차분하고 담담한 마음가짐으로 대응해 나갈 것입니다"라고 적혀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