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지원 등 중소기업 지원 제도가 있는지도 잘 모르고, 관련 서류를 만질 관리 인력조차 없어 각종 지원을 받기가 무척 힘이 듭니다."
장기화하는 경기 부진으로 상당수 중소기업이 작업 현장을 중심으로 인력을 최소화하면서 각종 서류를 만질 관리직이 사실상 없다시피 해 정부'경제지원기관'경제단체 등의 각종 지원 정책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다.
최근 고용노동부 구미지청과 구미상공회의소는 '출산 육아기 고용안정 장려금 찾아주기' 운동에 나섰다.
이 장려금은 기업의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육아휴직을 30일 이상 부여하고, 해당 근로자를 육아휴직 종료 후 6개월 이상 계속 고용 유지 시 육아휴직을 부여한 기간 동안 근로자 1인당 월 5만~30만원을 최대 1년간 지원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상당수 기업은 정부의 이 지원 제도를 잘 모르거나 서류 작성 어려움 등으로 장려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한 실정이다. 구미'김천 지역의 경우 지난 한 해 이 장려금을 지원받은 건수는 179건으로, 이는 예상 건수의 30~40% 수준에 불과하다는 게 고용청의 설명이다. 이 외에도 일과 가정 양립 관련, 모성 보호 관련 지원 등 직장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지원 정책에 대한 기업의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라고 고용청은 밝혔다.
또 한국산업단지공단,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상당수 경제지원기관이 수행하는 각종 기업 지원 정책도 관리직이 부족한 중소기업 입장에선 따라오기 힘든 실정이다.
일부 기관은 이 같은 자금 지원 시 비리 근절 등을 이유로 온라인 접수만 허용하기도 해 컴퓨터 사용 능력이 떨어지는 영세 중소기업들은 엄두조차 내기 어렵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경우 최근 주문량 감소 등 장기화하는 경기 부진으로 상당수 기업이 인력을 최소화하면서 50인 미만 영세기업 비중이 급증, 이 같은 애로를 호소하는 영세기업이 부쩍 늘고 있다.
구미산단은 입주기업 2천135곳 중 근로자 50인 미만 기업이 1천871곳, 87.6%에 달하는 등 산단 영세화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이처럼 영세기업 상당수가 현장 중심으로 인력을 최소화하면서 각종 서류를 만질 관리인력은 사실상 없다시피 하다.
구미산단 내 A중소기업 대표는 "심각해지는 기업 영세화 현상을 그대로 두면 여러 분야에서 악순환이 나타날 수 있다. 경제지원기관'단체들은 이에 맞춘 기업 지원 방식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