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그 아이들은 이 순간을 얼마나 기다렸을까…1074일 만에 인양된 세월호

수면 위 13m 부양 후 고박작업, 오후 4시55분 반잠수선에 내달 4일 목포신항 도착 전망

24일 오후 전남 진도군 사고 해역에서 해수면 13m로 부상한 세월호가 잭킹바지선과 예인선의 도움으로 반잠수선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24일 오후 전남 진도군 사고 해역에서 해수면 13m로 부상한 세월호가 잭킹바지선과 예인선의 도움으로 반잠수선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월호가 사고발생 1천74일 만인 24일 오후 어두운 바닷속에서 나와 쉽지 않은 '마지막 항해'를 시작했다.

잭킹바지선의 와이어줄에 묶인 세월호는 이날 오후 4시 55분 예인선 5척의 도움을 받아 3㎞ 떨어진 안전지대에서 대기 중인 반잠수식 선박 '화이트 마린'(White Marlin)으로 향했다.

이날 오후 접어들며 해수면 위 13m 인양 및 고박 작업을 마친 세월호와 잭킹바지선 주변에 예인선들이 모여들면서 이동 준비가 본격화됐다. 세월호는 화물칸인 파란색 하부와 객실'조타실 등이 있는 흰색 상부가 명확히 구분됐지만 곳곳이 긁히고 부식돼 황폐한 모습이었다. 선체는 왼쪽으로 드러누워 양쪽의 바지선 사이에 꽉 끼인 듯한 형상이었다. 선체 주변에는 이리저리 수십 개의 고박줄이 드리워지듯 감싸고 있었다.

오후 2시쯤 반잠수선으로 이동할 예정이던 세월호는 거꾸로 밀려오는 조류 때문에 출발 시간을 3시간 가까이 늦춘 뒤 진행 방향으로 조류가 바뀐 오후 4시 55분 천천히 반잠수선이 있는 해역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예인선 2대가 세월호 뒤에서 줄을 당기며 다른 방향으로 가지 않도록 제어했다.

세월호를 싣고 목포신항으로 갈 반잠수선은 동거차도 남방 2.3마일 떨어진 해역에 대기하고 있었다. 세월호가 있던 곳에서는 남동쪽으로 3㎞ 떨어진 곳이라고 해양수산부는 설명했다.

세월호가 반잠수선까지 가는 데 걸린 시간은 2시간가량이었다.

물밑에 본체를 내린 잠수선 안쪽으로 세월호와 잭킹바지선 묶음이 무사히 안착하는 것으로 이날의 인양 및 이동 작업은 마무리됐다.

그다음 여정은 세월호 미수습자 가족들과 유가족들이 애타게 기다리는 목포신항까지 가는 비교적 순탄한 길이다.

한편 해수부는 이날 세월호 인양이 차질 없이 진행되면 원래 목표했던 내달 4일 이전이라도 목포신항에 도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학배 해수부 차관은 이날 "지금은 4월 4일 정도로 생각하고 있는데 잘하면 그것보다 조금 더 빨라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배석한 해수부 관계자는 "날짜의 윤곽이 나오려면 반잠수선에 고박 작업을 해서 잭킹바지선이 떠나고 나면 조심스럽게 얘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월호가 반잠수선 위에 오른 후 고박 작업을 하고 배수까지 해야 하는데 유실물이 함께 나올 수 있고 그 과정에서 나오는 오염물질도 제거해야 해 2, 3일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작업은 25일 시작될 예정이다.

이후 목포신항까지 87㎞를 이동하는 데는 하루 정도 걸린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