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육십을 앞두고 뜻하지 않게 주말부부가 되었다. 아내의 속내는 모르겠지만 '전생에 나라를 구했나 보네요'라고 지인들이 부러워한다니 싫지는 않은 모양이다. 네 명의 식구가 아옹다옹 살다 부부 둘이 남았는데, 그나마 주중에는 아내 홀로 사는 곳으로 바뀌었다. 우리 집 사람 수가 그만큼 희소해졌다.
수요는 많은데 공급이 부족할수록 희소성(scarcity)은 커진다. 희소한 물건이나 서비스에 가치를 부여하는 경제 용어인 희소성을 사람과 연결할 수 있을까. 더 나은 사회적 지위를 향한 사람들의 경쟁도 결국 자신의 희소가치를 높이려는 노력이란 점에서 타당한 면이 있다.
지금은 많이 희석되고 있지만 의사, 변호사, 회계사 등 소위 '사'자 직업은 수를 제한하며 희소가치를 유지해왔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멕시코 국경에 장벽을 설치하려는 것도 미국 내 일자리의 희소성 유지가 목적이다. 모두 제도적 희소성 유지 장치들이다.
공짜로 얻는 자유재도 희소재로 변하기도 한다. 필자의 중'고교 시절만 해도 물을 돈 주고 산다는 것은 상상도 못했다. 그런데 생수는 이제 완전한 구매품이 되었다. 지금과 같은 속도로 환경에 부담을 주는 경제활동이 지속한다면 공기도 희소재가 될지 모른다.
자유재가 희소재로 바뀌듯, 희소재도 수가 늘어나면 자유재로 바뀔 수 있다. 2053년 지구촌 인구가 100억으로 늘어나면, 사람의 희소가치는 어떻게 될까. 우리나라 실업인구가 100만 명을 넘어섰고, 청년 실업률은 12%나 된다. 그럼에도 사람의 희소가치가 하락했다고 말할 수 없다.
사람의 가치, 인권은 실업률과 동등비교 대상이 아니다. 세상 만물은 그 수의 많고 적음으로 희소성을 판별할 수 있어도 사람만은 절대로 그렇게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실업률이 높다고 청년들의 몸값을 그들의 재능 가치보다 낮게 배분하려는 어떠한 사회적 합의나 관행도 정당화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희소가치를 얻기 위해 앞만 보고 달렸다. 도시를 떠나 농촌으로 향하는 사람들, SNS 수다방을 찾아 정담을 나누는 동창생들. 그들은 경쟁보다는 사람들의 끈끈한 정(情)이 더 그리운 사람들이다. 그곳은 경쟁자가 아닌 이웃사촌이, 꿈으로 부풀었던 청춘의 열정이 넘치는 곳이다.
주중 저녁, 홀로 방에서 보내는 시간이 여유롭다. 나 홀로 방에서 나를 본다. 거울 속에 비친 하나뿐인 나, 천하에 하나뿐인 희소한 존재이다. 가족을 사랑하고, 이웃과 마음을 나누며 살아가는, 충분히 가치 있는 얼굴이다. 이렇듯 사람의 가치는 수의 희소성으로 재단될 수 없다. 우리가 발 딛고 사는 이곳이 '꽃보다 더 아름다운' 사람 귀한 동네가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